정부가 여성, 장애인, 고령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고용을 책임지는 사회적경제조직이 만든 일자리를 2023년 10만개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9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제21차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사회적경제 판로지원 대책 안건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이 대책을 비롯해 국민 직업능력 지원안, 국방분야 일자리 창출안, 중소기업 일자리 지원방안, 환경분야 일자리 창출안 등 5개 대책을 통과시켰다.
판로지원 대책은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기로 한 문재인 정부의 네번째 대책이다. 사회적 경제는 시장경제 살리고 실업, 빈곤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으로 해외에서도 주목받는다.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등으로 구성되는 사회적경제조직은 작년 2만4,983곳이다. 2016년 말 1만4,916곳 대비 1만곳이나 증가했다. 특히 사회적기업은 올해 3,000개를 넘어섰다. 이들 기업은 작년 기준 5만5,407명을 고용했다.
이번 대책은 사회적기업과 같은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속적으로 요구한 판로 지원을 확대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민간 기업에 비해 낮은 수익성을 확충해 이들 기업이 만든 일자리의 질도 높이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우선 라이브커머스와 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채널이 확대되고 사회적경제 조직의 해외 진출이 더 쉬워진다. 사회적경제조직의 온라인 사업 모델 구축 지원과 온라인 판매 인력 양성 교육이 병행된다. 정부가 지역별 사회적경제조직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어떤 제품으로 어느 기업이 판매하는지에 대한 전국 정보망도 구축된다.
특히 단기간 사회적경제조직의 판로 확대 성과를 낼 수 있는 공공기관 우선 구매 규모가 지난해 1조6,225억원에서 내년 2조1,000억원으로 30% 늘어난다. 또 사회적경제조직 판로지원을 담당하는 플랫폼도 한층 강화된다. 이와 함께 사회적경제조직이 민간에서 돈을 끌어올 수 있는 길도 넓어진다. 정부는 올해 신규 투자조합과 사회적기업에 투자하는 임팩트 펀드를 조성하는 등 기업에 민간 투자가 이뤄지도록 중간 역할을 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 대책을 통해 2020년 7만5,000개인 사회적경제조직의 일자리가 2023년 10만개(고용보험 가입자 기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 또 100억원대 매출액을 기록 중인 사회적경제조직 내 기업 또는 협동조합을 같은 기간 77곳에서 100곳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김용기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이번 일자리위원회 방안은 민간의 신산업을 육성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일자리의 질을 개선하는 게 목표”라며 “사회적 경제 판로지원 대책은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속가능한 성장 생태계를 조성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