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고사 직전인 여행 업계와 여행객들에게 가뭄에 단비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한국이 사이판과 첫 ‘트래블 버블(여행안전권역)’을 체결한다는 내용이었다.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막힌 지 1년 5개월 만이다. 하지만 보복 여행 심리가 폭발해 당장 여행객이 몰릴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지난 두 달간 실제 사이판을 다녀온 여행객은 두 자릿수에 그쳤다.
해외여행에 대한 간절함에도 트래블 버블 이용이 저조한 것은 감수해야 할 시간과 비용, 불편이 크기 때문이다. 여행객은 백신 접종을 마친 후 정부 지정 여행사의 단체 여행으로만 사이판을 방문할 수 있다. 한 번에 수십만 원이 드는 유전자 증폭(PCR) 검사를 세 차례나 받아야 하고, 현지에선 가이드 안내에 따라 지정된 경로로만 다녀야 한다.
이러다 보니 여행객들의 관심은 점차 다른 곳으로 옮아갔다. 자가격리 없이 입국을 허용하는 나라가 하나둘 늘어나고 있는 데다 한국과 유럽연합(EU)이 무비자 입국 제한 조치를 해제하면서 해외로 나가는 길은 더 넓어졌다. 정부는 지금도 호주·싱가포르·대만 등과 논의를 이어가고 있지만 여행 업계에서 트래블 버블은 이미 실패한 정책으로 평가된다. 현재 트래블 버블을 통해 실제 여행객이 오가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더 큰 문제는 여행 재개에 여전히 소극적인 정부의 태도다. 정부는 벌써 2년 가까이 여행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당장 추석 연휴를 앞두고 여행사에 격리 면제 국가의 여행 상품을 문의하는 전화가 빗발치는 현실과 정부의 온도 차는 크다.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고 ‘위드 코로나’가 시야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모임·회식·등교 등 일상이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 이제 여행도 일상으로 돌아갈 채비를 해야 할 때다. 그 시작은 국내 여행이다. 다시 해마다 수천만 명이 해외로 몰려 나기기 전에 새로운 시대의 여행법을 정부가 먼저 제시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