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도장은 자신을 증명하는 신분" 회장님도 본인 안 오면 퇴짜

[대한민국 명장을 찾아서] 인장공예 황보근 인예랑 대표

50년 외길…인장 분야 당대 최고

"글의 원천 알아야" 서예에도 조예

도장 하나 만드는데 한 달 걸리기도

"인감은 곧 신분… 남이 대신 못해"

아무리 힘 쎄도 반드시 본인이 와야

황보근 명장이 서울 인사동 인예랑 사무실에서 자신이 만든 인감도장과 전각 작품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무실 문을 열자마자 ‘無眼耳鼻舌身意(무안이비설신의)…’라는 붓글씨가 눈에 들어왔다. 광개토대왕 비문에 나오는 반야심경구를 붓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서예 문외한의 눈으로 볼 때도 웅장함을 느끼게 하는 필체. 잘못 왔나 싶었다. 분명 인장(印章) 명장을 찾아왔는데 서예라니. 약간 어정쩡한 모습으로 들어서는데 인상 좋은 어르신이 뜨거운 커피 한 잔을 내밀며 반갑게 맞는다. 지난 2013년 인장공예 부문 대한민국 명장에 이름을 올린 황보근(71) 인예랑 대표다.

15일 서울 인사동 건국빌딩에 있는 인예랑 사무실에서 서울경제와 만난 황 명장은 도장으로만 50년 외길 인생을 걸어온 국내 최고 달인이다. 그를 제자로 거둔 이는 2008년 명장 반열에 오른 유태흥 선생. 2002년 명장이 된 이동일 옥새당 대표는 그를 두고 “예술적 측면에서 당대 최고”라고 극찬했다. 천재가 천재를 알아보는 것처럼 명장이 명장을 알아본 셈이다. 이력도 화려하다. 30대 초반이던 1985년 전국 인각기술경연대회에서 각인부와 고무인부에서 모두 대상을 탔다. 두 부문에서 모두 대상을 탄 것은 황 명장이 유일하다. 2012년에는 제5대 대한민국 국새 제작·감리위원을 맡았다. 인장가로는 보기 드물게 과천국립현대미술관·예술의전당·서울시립미술관 등에서 초대 작가로 작품을 전시한 적도 있다.

자타 공인 최고의 실력을 갖춘 황 명장에게 서예와 인장은 떼어 놓을 수 없는 관계다. “인장은 글을 새기는 것입니다. 예쁘게 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죠. 글의 원천을 알아야 합니다. 서예를 하는 이유입니다. 서법(書法)을 배워 경계를 넘어서면 붓을 아무 데나 써도 눈에 띌 수밖에 없습니다.” 그가 인장 명장이면서도 서예의 대가로도 불리는 이유다.

황보근 명장이 직접 붓으로 쓴 광개토대왕 비문의 반야심경구.


황 명장은 어려서부터 인장과 서예에 관심이 많았다. 부친의 영향이 컸다. 글씨도 잘 썼지만 자신만의 독특한 글씨체를 사용했다. 글씨를 쓰고 난 뒤에는 그 위에 고무지우개를 파서 도장을 찍었다. 그는 “그때 아버지가 ‘이것이 내가 썼다는 것을 증명하는 인장’이라고 설명해주셨다”며 “그게 신기해 인장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1971년 인예랑을 연 후에는 미친 듯이 일했다. 한복 치맛단에 들어가는 금박 문양 원판을 만드는 일을 맡았을 때는 130여 개나 만들었다. 원판 하나에는 약 40~50개의 글씨와 무늬가 들어간다. 이때 글을 새기는 전각 기술에 눈을 떴다. 반면 손에는 무리가 갈 수밖에 없다. 그의 손가락이 지금까지 약간 굽은 상태로 있는 것은 그때 얻은 상흔이다.



황보근 명장이 자신이 쓴 서예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맨 왼쪽에 있는 글씨가 광개토대왕 비문에 새겨진 글을 붓으로 쓴 작품이다.


도장을 잘 만든다는 입소문에 서예가와 유명인들이 몰렸다. 지금까지 50여 년 동안 그가 만든 인감은 약 1,000개 정도. 목도장은 셀 수조차 없다. “지금은 만들지 않지만 목도장의 경우 20대 때 하루에 100개 이상도 만든 적이 있습니다. 목도장 하나 값은 약 500원. 당시 공무원 월급이 6만 원 정도였던 점을 감안하면 일반인의 한 달 치 봉급을 단 하루에 번 셈이죠.”

아무나 도장을 만들어준 것은 아니다. 황 명장에게는 철칙이 있다. 인감을 만들 때 반드시 본인이 와야 한다. 다른 사람이 오면 도장을 얻어갈 수 없다. 대기업 회장도, 콧대 높은 정치인도 예외가 없다. 그는 “인감이란 자신의 신분과 똑같은 것인데 어떻게 남이 대신할 수 있겠는가”라며 “돈이 아무리 많아도, 권력으로 위세를 떨치는 사람도 본인이 오지 않으면 그냥 돌려보냈다”고 전했다. 또 하나의 원칙은 자신이 만든 도장에 만족하지 못하면 손님의 손에 절대 가지 못한다는 것. 그러다 보니 어떤 때는 인감도장 하나 만드는 데 한 달이 걸리기도 한다.

황 명장은 영국의 문화 평론가 존 러스킨이 남긴 “예술은 손과 머리와 마음이 움직일 때 아름답다”는 말을 도장처럼 가슴에 새기고 산다. “예술은 기교나 기술을 뛰어넘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단히 노력해야 하죠. 글씨 쓰는 사람도 어느 지점에 오면 한계에 이르게 됩니다. 그것을 뛰어넘으려면 더 잘하고 더 나아지려고 찾고 또 찾아야 합니다. 인장도 마찬가지입니다.” 황 명장은 항상 발전에 목말라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