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明成皇后·1851~1895) 시해 사건인 을미사변 ‘실행 그룹’ 중 한 명인 일본 외교관이 시해 다음날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가 나왔다.
16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당시 조선에 영사관보(補)로 머물던 호리구치 구마이치(堀口九万一·1865~1945)가 발송인으로 돼 있는 편지에는 “우리가 왕비를 죽였다”며 명성황후 시해 사건 경위가 상세히 기록된 것으로 파악됐다. 그는 일본 외교관, 경찰, 민간인으로 구성된 실행 그룹의 일원이었다.
모두 8통의 편지 중 명성황후 시해 다음날인 1895년 10월 9일 자 편지에는 사건 현장에서 자신이 했던 행동을 상세히 기술했다. 그는 “진입은 내가 담당하는 임무였다. 담을 넘어 (중략) 간신히 오쿠고텐(奧御殿·귀족 집의 안쪽에 있는 건물, 침소)에 이르러 왕비를 시해했다”고 밝혔다. 또 “생각보다 간단해 오히려 매우 놀랐다”고 소감까지 적었다.
일련의 편지는 1894년 11월 17일부터 사건 직후인 1895년 10월 18일까지 발송된 것이다. 일본 니가타(新潟)현 나카도리무라(中通村, 현재의 나카오카시)의 한학자이며 호리구치의 고향 친구인 다케이시 데이쇼(武石貞松)가 수신인으로 돼 있다.
편지는 현재 나고야(名古屋)시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계 미국인 우표·인지 연구가 스티브 하세가와(長谷川·77)가 고물 시장에서 발견해 입수했다. ‘조선 왕비 살해와 일본인’의 저자인 재일 역사학자 김문자씨가 편지의 흘려 쓴 붓 글씨를 판독했다.
신문은 편지가 원래 보관돼 있었다고 여겨지는 장소, 기록된 내용, 소인, 봉인 편지 작성 방법 등을 고려했을 때 호리구치의 친필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문자씨는 “사건의 세부(상세한 내용), 가족에 대한 기술 등을 보더라도 본인의 진필임이 틀림없다”고 말했다. 이어 “현역 외교관이 왕비 시해에 직접 관여했다고 알리는 문면에 새삼 생생한 놀라움을 느낀다”며 “아직까지도 불분명한 점이 많은 사건의 세부를 밝히는 열쇠가 될 가치가 높은 자료”라고 평가했다.
한편 명성황후 시해 사건은 1895년 10월 8일 일본 군인과 외교관, 민간인들이 경복궁에 난입해 명성황후를 살해하고 석유를 뿌려 불태운 사건이다. 그러나 일본에 유리하도록 불평등하게 설정된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규)으로 인해 조선의 재판권은 일본인 실행 그룹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사건 다음 해인 1896년 1월 실행그룹 중 육군장교 8명은 군법회의에서 무죄로 결론이 났으며, 호리구치와 미우라 고로(三浦梧?) 등 48명은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소송이 중지돼 석방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