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이 90세 일기로 자택서 지병으로 사망한 가운데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애도하지 않는다. 조의를 표하지 않겠다"고 했다.
용 의원은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부정하지 않고서 전두환씨의 죽음을 애도할 방안이 없다"면서 이렇게 적었다.
그러면서 용 의원은 "저는 그렇기에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 그리고 이를 위한 수많은 선배시민들의 투쟁을 옆으로 또 다시 잠시 미뤄둔 채, 학살자의 죽음을 애도하지 않고자 한다"면서 "애도할 방법이 저에겐 없다"고도 했다.
아울러 용 의원은 "그의 죽음을 듣고 떠오른 단 하나는 그의 삶과 죽음이 평안했다는 바로 그 사실, 그 분노스러운 부정의에 대한 분노 뿐"이라고 썼다.
여기에 덧붙여 용 의원은 "부디 이번만은 그 누구도 통합이라는 허울로, 혹은 공과라는 거짓으로 국민 분열을 시도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오늘 이 황망한 소식에 또 다시 가슴 속 뜨거움을 견디고 계실 오월광주의 유가족분들께 다시 한 번 연대의 마음을 보낸다"고 했다.
한편 전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40분쯤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지병으로 숨을 거뒀다. 전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건 지난달 26일 친구이자 후계자인 노태우 전 대통령이 별세한 지 한 달여 만이다.
노 전 대통령 때와 달리 전 전 대통령의 장례는 '국가장'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낮다. 노 전 대통령과 유족은 12·12 군사 쿠데타와 5·18 광주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등 역사적 과오에 나름 반성의 뜻을 표했지만 전 전 대통령은 사과 표명을 한 적이 한 번도 없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들 역시 이 같은 점을 고려해 조문을 가거나 추모 메시지를 내는 데 부정적인 입장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도 빈소에 조문하지 않기로 했다.
전 전 대통령은 1931년 1월 23일 경남 합천에서 태어나 1955년 육사를 11기로 졸업했다. 사조직인 '하나회'를 만들고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피살 사건 당시 합동수사본부장이 됐다.
전 전 대통령은 그해 정권 찬탈을 노린 12·12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고 이듬해인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했다. 전 전 대통령은 1987년 4·13 호헌조치를 통해 개헌 요구를 거부했지만 그해 6월 민주항쟁이 일어나자 항복을 선언하고 1988년 초 자리에서 물러났다.
전 전 대통령은 1996년 김영삼 정부에서 내란·살인 등의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다가 1997년 12월 김대중 당시 대통령 당선자의 건의로 특별사면을 받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