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4일 경남 합천에 있는 합천댐을 찾아 세계 10위 규모의 부유식 수상태양광 시설이 처음 가동되는 모습을 둘러봤다. 문 대통령은 공교롭게도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한 다음 날 전 전 대통령의 고향을 찾은 셈이 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시찰 현장에서 “민주적 재생에너지 사업모델의 성공 사례”라며 “앞으로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사업모델이 더욱 확산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댐 수면의 수상태양광 모양이 합천군화(花)인 매화 형상으로 설치돼 있어 댐 주변 경관과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며 “주변의 생태둘레길과 합천의 명소인 해인사 등과 연계해 합천군의 또 다른 관광명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시찰 후에는 지역주민, 수상태양광 관련 전문가, 공사 관계자 등 20여 명과 현장 간담회를 가졌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합천댐 수상태양광은 지역의 결단과 참여가 성공의 가장 중요한 밑거름”이라며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국제규범이 됐다.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체계 전환은 미래세대의 생존과 국가 경제의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시대적 과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상태양광은 가장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에너지 기술의 하나”라며 “합천댐 수상태양광은 지역주민이 에너지의 주인이 되는 분권형 에너지 민주주의의 출발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격려했다.
합천댐은 2012년 세계 최초로 댐 내 수상태양광을 상용화한 곳이다. 이날 새로 가동되는 시설은 연간 41M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되는 전력량은 연간 6만 명이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어 합천군민 4만3,000명이 사용하기에 충분하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 청와대는 또 석탄화력발전 대체 효과로 연간 미세먼지 30톤과 온실가스 2만6,000톤을 감축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 시설에는 댐 인근 봉산면 20여개 마을 주민 1,400여명이 공동체를 구성해 약 31억원을 투자했다. 앞으로 여기서 나오는 발전수익 일부는 주민들이 공유하게 된다.
한편 합천은 전날 사망한 전 전 대통령의 고향이기도 하다. 전 전 대통령은 1931년 1월 18일 경남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에서 태어났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23일 “전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에게 위로의 말을 전한다”면서도 “끝내 역사의 진실을 밝히지 않고 진정성 있는 사과가 없었던 점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 청와대 차원의 조화와 조문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