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산업부 박형윤 기자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려 논란이 된 해시태그다. 정 부회장이 제공한 이 논란으로 인해 온라인 세상은 ‘사상 검증’의 무대가 되고 말았다. 정 부회장의 팔로어들은 “보수 지지자는 이마트를 간다”는 댓글을 달고 있다.
정 부회장의 발언을 옳고 그르다고 평가하는 것조차 논란이 되는 상황에서 그나마 정 부회장이 던진 화두에서 끄집어내 같이 고민해볼 문제는 우리나라의 중국 의존도 문제다.
정 부회장이 속한 유통 업계는 2016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를 겪으며 중국에 대한 영향력을 뼈저리게 절감했다. 우리나라가 사드를 미국에서 들여오자 중국이 우리나라에 ‘한한령’을 가했고 이에 우리나라의 많은 유통 기업들은 큰 손실을 입었다. 중국에 로드숍을 차렸던 우리나라 뷰티 기업들은 하나둘씩 매장을 정리하는 수준으로 내몰렸고 국내 관광·호텔 기업들 역시 중국 관광객 감소로 큰 홍역을 치렀다. 업계에서는 ‘한한령’이 해지되기까지 체감상 약 4년의 시간이 걸렸다며 중국 매출이 사드 이전의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을 ‘목표’이자 ‘꿈’이라고 말할 정도다.
최근 터진 요소수 대란 역시 중국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중국이 요소수 수출을 금지하자 국내 운송 업계는 마비가 됐고 정부가 일반 업자들이 숨겨 놓은 요소수를 찾아내야 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2016년 사드 사태와 2021년 요소수 대란을 거치면서 변하지 않은 단 한 가지 사실은 우리나라 경제는 중국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과제이지만 당장 글로벌 공급망하에서 중국을 단번에 끊어내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사드와 요소수 대란을 겪으며 정상적인 외교 문법을 무시하고 힘자랑에 나서는 중국과 그 중국을 이끄는 중국 공산당을 싫어하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부 당국자이거나 기업 총수라면 중국에 대한 반감에서만 생각이 멈춰서는 안 된다. 이들이 정하는 중국에 대한 발언과 태도·정책에 따라 국민 또는 직원들의 일자리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정 부회장의 SNS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해법과 견해가 담기기를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