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색은 생명을 상징한다. 때로는 속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혁명을, 피를 흘려 쟁취한 자유를 의미하기도 한다. 하지만 붉은 색이라고 해서 늘 생명력과 역동성이 넘치는 건 아니다. 추상표현주의 거장 마크 로스코(1903~1970)의 붓 끝에서 탄생한 붉은 색이 그렇다. 로스코의 붉은 색 앞에 서면 관객들은 처음엔 생명을 보지만, 이내 그 붉은 색 너머 죽음을 감지하고는 깊이를 알 수 없는 슬픔에 빠지곤 한다. 애니메이션 감독 안재훈 역시 로스코의 그림을 보면서 그런 감정을 느꼈다. 직업적 도전 의식도 느꼈다. 강렬한 붉은 색이 무채색보다도 더 아프고, 더 슬플 수 있음을 스크린을 통해 증명하고 싶었다. 그 결과물이 지난 24일 개봉한 뮤지컬 애니메이션 ‘무녀도’다.
안 감독은 영화 개봉에 맞춰 서울 중구에 위치한 연필로 명상하기 스튜디오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로스코가 그림을 그리던 당시 마음이 어땠을 지 알고 싶기도 하고, 계속 영감을 받고 싶어 작업하는 동안 계속 로스코 그림을 들여다봤다”며 “스태프들에게도 붓질을 깔끔하게 하지 말라고 주문했다. 로스코 그림의 처연한 느낌, 괜히 눈물이 나오는 느낌을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무녀도’는 김동리 작가의 동명 소설을 애니메이션화 한 작품이다. 주인공 무녀 모화는 늘 새빨간 입술을 하고, 선홍색 무녀복을 입고 굿을 하지만 모화의 낯빛엔 삶과 죽음이 공존한다. 산 자의 안녕을 위해 죽은 자의 명복을 비는 게 그녀의 직업이기 때문이다.하지만 무녀도의 시대적 배경인 1920~1930년대는 외래 문물에 토속 신앙이 밀리기 시작하던 때다. 기독교를 받아들인 아들 욱이 뿐 아니라 그간 모화의 영험함에 의지했던 공동체 역시 그녀에게서 등을 돌린다. 마치 금방 칼날에 베인 살갗 사이에서 배어 나온 피 마냥 붉은 색으로 상징 됐던 모화는 끝내 죽음을 선택한다.
‘무녀도’는 색 뿐 아니라 선(線)도 이전 작품에 비해 훨씬 날 선 느낌이다. 안 감독은 “원작의 센 느낌을 살리기 위해 이전 작품보다 훨씬 날카로운 선으로 캐릭터들을 표현해 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물론 원작이 강렬하다고 해서 애니메이션의 모든 요소를 ‘세게’ 갖고 갈 수 는 없는 법이다. 관객이 부담스러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화 차원에서 선택한 시도가 바로 음악 비중 확대다. 주요 등장인물인 모화와 욱이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노래를 통해 이야기가 진행된다. 안 감독은 “뮤지컬 형식을 취하면 원작의 센 느낌이 자연스레 해소되면서 스크린이 더 꽉 차는 느낌이 들 거라 생각했다”며 “또한 모화의 대사 중 상당 부분이 무속에 관련된 내용이라 이해가 어려울 수 있는데, 노래를 통해 전달하면 관객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편 안 감독은 ‘무녀도’를 끝으로 그간 진행했던 ‘한국 단편문학 프로젝트’에 마침표를 찍었다. ‘메밀꽃, 운수 좋은 날, 그리고 봄봄(2014)’ ‘소나기(2017)’ 그리고 ‘무녀도’까지 잊혀 가던 한국 문학의 아름다움을 애니메이션으로 재해석 해왔던 안 감독은 “젊은 스태프들의 미래를 위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스태프들에게도 ‘그들의 시대’가 있어요. 감독으로서 그들이 자신들의 시대를 살 수 있게 해줘야죠. 젊은 스태프들이 재미있어 하고, 자신의 재능을 도구 삼아 도전해보고 싶어하는 분야가 있거든요. 그래서 앞으로는 이전 시대 보다는 지금 시대, 미래 시대를 보여주는 작품을 내놓게 될 겁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