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인터뷰] '지옥' 연상호 감독 "대중 타깃인 작품 아니었는데…어리둥절했죠"

'지옥' 연상호 감독 / 사진=넷플릭스 제공




애초에 일반 대중 타깃이 아니었다는 작품 ‘지옥’. 놀랍게도 공개된 지 하루 만에 넷플릭스 전 세계 1위라는 기록을 세우며 글로벌 인기를 견인했다. 삶과 죽음, 죄와 벌, 그리고 인간다움에 대해 물음표를 던지는 보편적인 질문이 국내외 시청자들의 공감을 샀다. 인간의 민낯을 보여주는 연상호 감독의 디스토피아 세계관이 제대로 통했다.

넷플리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옥’은 예고 없이 등장한 지옥의 사자들에게 사람들이 지옥행 선고를 받는 초자연적 현상이 발생하고, 이 혼란을 틈타 부흥한 종교단체 새진리회와 사건의 실체를 밝히려는 이들이 얽히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연상호 감독과 ‘송곳’의 최규석 작가가 합작한 동명의 웹툰이 원작이다. 연 감독은 넷플릭스와 손잡고 직접 드라마화했다.

“넷플릭스와 이야기할 때 보편적인 대중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어요. 오히려 조금 더 코어 타깃을 노린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작업을 했죠. 그렇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1위를 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죠. 다음날 밤 11시 정도에 국내 순위가 나오는데 ‘국내에서 첫날 2위 정도 하면 만족스럽겠다’ 싶었거든요. 그런데 1위더라고요.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잤죠. 자고 일어났더니 아침에 제작자분들의 연락이 많이 와있는데 ‘글로벌 1위를 했다’고 해서 잠결에 '뭐지?'라고 어리둥절했어요.”

연 감독은 웹툰 작업 과정에서부터 여러 인간 군상에 대해 이야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최 작가는 연 감독이 이야깃거리를 모아서 글로 작업한 뒤 넘겨주면, 연출자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정확한 감정에 대해 여러 번 질문했다고. 연 감독은 이런 작업 덕분에 자신이 생각했던 분위기가 웹툰에 많이 담겼고, 영상화하는 과정에서는 웹툰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를 실사화하는 것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최 작가와 처음 ‘지옥’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고지’(천사에게 지옥행 선고를 받는 것)와 ‘시연’(지옥에 가는 날 사자들에 의해 행해지는 형벌)이 무작위적으로 일어나는 세상이라는 가상의 현실을 마련해 놓고, ‘어떤 인간들이 존재할 수 있을까’에 대해 이야기를 많이 했어요. 메타버스 게임을 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인간들이 어떤 모습을 보여주는지 지켜보는 것이죠.”



‘지옥’의 천사의 형상, 지옥의 사자 등은 정형화된 모습을 탈피했다. 이는 연 감독과 최 작가의 상상력에서 비롯된 것. 기존의 천사 이미지와 더불어 서늘한 느낌을 내기를 원해 여러 가지 종교화를 참고하며 거대한 얼굴의 천사를 생각해 냈다. 기괴한 모습의 사자들의 모습은 ‘인간일 수 있겠다’고 상상하면서 작업한 것. ‘혐오 같은 것으로 똘똘 뭉쳐 있는 인간을 실체화하면 어떤 모습일까’라는 생각에서 비롯됐다.

“전 어렸을 때부터 서브컬처(어떤 사회의 전체적인 문화, 또는 주요한 문화에 대비되는 개념) 마니아였어요. 피터 잭슨 감독의 ‘데드 얼라이브(Dead Alive)’ 같은 키치적이고 서브컬처적인 영화를 좋아했죠. ‘지옥’을 만들면서도 웰메이드 영화를 지향하고 있지만, 키치하고 서브컬처적인 요소가 들어가길 원했어요.”

연 감독의 이런 서브컬처적인 요소는 곳곳에서 발견된다. 극 중 새진리회를 추종하는 집단인 화살촉의 리더(김도윤)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분장을 하고 괴성을 지르며 인터넷 방송을 진행한다. 이 같은 설정은 호불호가 극명하게 나뉘기도.

“화살촉 리더 같은 경우는 스피커적으로 실체화하면 어떨까 했어요. ‘얼굴을 메이크업으로 가린 스피커적인 존재, 혹은 선동가로서 이미지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라는 고민에서 나온 캐릭터죠. 김도윤이 그런 지점을 잘 표현을 해줬다고 생각해요.”





‘지옥’은 아이러니하게도 사후 세계의 지옥은 보여주지 않는다. 죽을 시간을 고지 받은 사람들이 있는 현실 세계가 진정한 지옥으로 변해간다. 연 감독은 ‘지옥’이라는 제목, 단어에 대한 상상을 많이 했다고 털어놨다. ‘사람들 안에서 처음 지옥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생겨났을까’ ‘왜 실체도 존재하지 않은 것이 구체적인 명사인 지옥이라는 단어로 탄생하게 됐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됐다고.

“무언가를 상상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것에 지옥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었을 거예요. 시리즈 내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요. 이해할 수 없는 초자연적 존재를 통해 무언가를 상상하고 실체화하게 되잖아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동시에 실체화될 수 있다는 것이 무서운 지점이죠. 그런 것들을 표현하고 싶었어요.”

“죽음에 대한 고지는 저희 모두가 이미 받고 있다고 생각해요. ‘누구나 죽는다’는 간단한 명제는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눈앞에 있다고 느끼는 분들이나 특수한 상황에 있는 분들 외에는 그 지점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거예요. 당연하게 예정되어 있는 내용이지만, 그것이 자기가 이해할 수 없는 폭력적인 방식으로 누군가에 의해 결정되면 인간이 얼마나 작아질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했죠. 민혜진(김현주)의 엄마 같은 경우도 천사의 고지를 받은 자는 아니지만 병에 의해 어느 정도 고지를 받았다고 생각할 수 있잖아요. 고지 받은 자가 모두 미치지는 않지만, 여기에 의미를 덧씌우면서 ‘지옥’의 인간들은 미쳐가기 시작하죠. 그런 것들이 작업하면서 재미 있는 포인트였어요.”



공개적으로 시연을 당한 박정자(김신록)가 부활하는 충격적인 결말은 시즌2에 대한 예고 같기도 하다. 연 감독은 후속 이야기에 대해 최 작가와 올여름부터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대략적이고 구체적인 이야기가 정해진 상태여서 만화화하기로 결정했다. 시즌2 웹툰은 내년 하반기 정도에 선보이게 될 것 같다. 다만 영상화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

“박정자의 부활은 마지막 작업부터 나온 이야기입니다. 웹툰에서 그 장면이 나올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있었죠. 넷플릭스와 영상화에 대한 결론이 웹툰 연재 결말이 나오기 전에 나온 상태라서 넷플릭스 제작진들, 최 작가와 일종의 회의를 통해서 마지막 장면을 만화에 넣지 않고 영상에 넣는 걸로 선택했고요. 만화와 영상의 크리에이터가 같기 때문에 협의하고 합의하면서 더 큰 효과가 나왔다고 생각해요.”

시청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는 ‘배영재(박정민)와 송소현(원진아)의 갓난 아기 튼튼이가 사자들의 시연 가운데 어떻게 살아남았냐’는 것. 연 감독은 사자들이 내뿜는 무언가가 불이 물리적인 불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작품 속에서 ‘불 타 있는 시체가 유기물이 아니다’라고 하는 부분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 연 감독은 사자의 불이 마음의 벽으로 되어 있는, 인조인간 에반게리온의 에이티필드와 같은 결이라고 여겼다.

“튼튼이의 마지막 모습은 이 세계 사람들에게 굉장히 큰 임팩트를 남겼을 거예요. 유지사제(류경수)의 말처럼 ‘이 사건이 이 세계를 멸망시킬 것이다’라는 관점도 있을 것이고, 또 다른 희망에 관한 큰 극적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튼튼이의 생존이 그 이후의 이야기와 지옥의 사자들의 정체와 관계가 있을 거예요. 기다려 주시면 재밌게 볼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서 그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으면 좋겠네요.”



연 감독이 웹툰 시즌2를 예고했지만, 시즌제로 이어 나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연 감독은 넷플릭스 혹은 다른 방식으로 영상화가 됐을 때 시즌제라고 할 수 있는 것이라며 “내가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말을 아꼈다. 웹툰 원작자로서 최 작가와 같이 이 작품을 이어갈 수 있는 것만이 결정할 수 있는 문제라고.

“이 작품에서 나올 수 있는 이야기를 무궁무진하게 표현하고 싶을 때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놀이터 같은 곳이 됐으면 좋겠어요. 영상화는 그 이후의 문제죠. 전 편안한 마음으로 작품을 만들려고요.”(웃음)

연 감독은 현재 넷플릭스와 두 번째 협업을 하고 있다. 이번 작품은 드라마가 아닌 영화다. 오랜만에 복귀하는 배우 강수연과 ‘지옥’의 김현주, 류경수와 함께 SF 영화 ‘정이’를 촬영하고 있다. ‘지옥’이 촘촘한 서사시라고 한다면, ‘정이’는 단편 소설이나 시 같은 형태의 작품이다. 그는 “이전의 작품과 결이 많이 다를 것”이라며 한껏 기대감을 높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련태그
#지옥, #연상호감독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