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공연장이 떼창으로 가득찰 때 일본은 왜 조용히 박수만 칠까. 한국에는 온갖 의미의 ‘찰진' 욕이 존재하는 반면, 일본에는 왜 딱히 욕 단어가 없을까. 가까운 것 빼면 거의 모든 게 다른 두 나라, 한국과 일본은 놀랄만큼 다른 삶의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왔고, 또 장차 어떤 미래를 낳게 될까.
책 '선을 넘는 한국인 선을 긋는 일본인'은 문화심리학자의 눈으로 본 두 나라의 이야기다. 인간의 보편적 욕구에 대한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대처 방식을 통해 거꾸로 한국과 한국인을 분석한다. 저자는 한국과 일본 사람들의 성격적 특성과 다양한 문화콘텐츠에 담긴 숨은 의미, 심층 심리까지 세세하게 짚어낸다.
책은 두 나라 사람들의 차이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로 ‘먹방’과 ‘야동’을 꼽는다.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욕구인 식욕과 성욕을 듣러내는 두 행위는 각 나라를 대표하는 콘텐츠다. ‘야동’에는 엿보기라는 왜곡된 방식으로 타인과 소통하고자 하는 일본인의 욕구가 반영돼 있다. 반면 ‘먹방’을 시청하며 소통하는 것은 관계에 대한 욕구가 가장 한국적으로 드러난 문화현상이라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또 다른 차이는 관계에 대한 태도에서 비롯된다. 한국인은 자신과 타인의 입장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고 여기지만 일본인은 자신을 타인과 명확히 구분되는 존재로 간주하고 피해를 끼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으면 억울함이 쌓여 화병으로 표출되는 게 한국인이라면 일본인은 다른 이들에게 피해를 줄지 모른다는 공포에 휩싸여 대인공포증에 시달린다.
하지만 때로 한국인의 상대방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오지랖' 문화를 형성하기도 한다. 책은 이런 한국인들의 성격을 인플루언서, 즉 남에게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라고 요약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자신의 영향력이 주위에 널리 퍼지기를 원하는 인플루언서가 한국인들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문화적 특성은 그룹 BTS나 영화 '기생충', 드라마 '오징어 게임' 같은 한국적인 콘텐츠 탄생의 배경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저자는 한류가 각광 받는 시대인 지금이야말로 한국인과 일본인을 제대로 알아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역사를 거슬러 가장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아온 두 나라 사람들을 이해하면 언제든 찾아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어느 나라든 흥망성쇠가 있다. 잘나갈 때가 있으면 쇠퇴할 때도 온다. 오늘의 짜릿한 '국뽕(국가에 대한 자부심·국가와 히로뽕의 합성어)'에 만족하지 말고 위기를 대비하고 극복할 수 있는 혜안을 찾길 바란다." 1만8,000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