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2018년 폭파 및 폐쇄 조치한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재건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해 영변 핵 시설 재가동 징후가 포착된 데 이어 풍계리 핵 시설 재건 우려까지 제기되면서 북핵 위험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다.
24일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을 지낸 올리 헤이노넨 미국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이 풍계리에서 인부들의 작업 징후가 포착됐다고 밝혔다. 헤이노넨 연구원은 최근 위성사진을 근거로 “차량 통행 흔적이 발견되며 제설 작업 등이 이뤄졌다”며 “풍계리 핵실험장을 일정 조건으로 점검·유지 중”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은 2018년 외신 기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를 폭파하며 비핵화 조치 가운데 일부를 이행했다. 풍계리에는 총 4개의 핵실험용 갱도가 있는데 1번 갱도는 이미 핵실험을 진행한 뒤 폐쇄 조치했고 2번 갱도는 수차례 핵실험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3~4번 갱도는 미사용 상태로 관리 중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이 2018년 ‘보여주기’식 폭파를 한 뒤 일부 갱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 조치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헤이노넨 연구원은 이와 관련해 “북한이 갱도 전체를 다 폭파한 것은 아니다”라며 “새 입구를 뚫어 파괴되지 않았던 갱도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북한은 지난해 영변 핵시설도 재가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지난해 9월 IAEA 이사회에서 “북한이 영변 핵 시설 내 5㎿ 원자로와 관련 냉각수 배출을 포함해 가동한 정황이 있다”고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이 최근 핵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중단(모라토리엄) 해제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만큼 앞으로 핵 위험성은 더욱 커졌다고 평가한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핵무기를 소형·경량화하는 전술 핵 개발에 매진할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의 대응 상황을 지켜보면서 무력 도발 수위를 조절하는 방식을 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