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보건소 코로나19 대응 인력 10명 중 7명은 현재 보건소 인력 규모로 국내 코로나19 장기화 대응이 어렵다고 응답했다.
경기도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18~26일까지 도내 보건소 인력 51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경기도 코로나19 심리방역을 위한 인식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현재 보건소 인력 규모로 국내 코로나19 장기화 대응이 가능한지 묻는 말에 응답자 72.9%가 ‘어렵다’고 했다. ‘보통’은 18.2%, ‘가능하다’는 8.9%에 그쳤다.
업무 인식을 보면 객관적인 업무량이 많다(86.8%), 시간 압박이 심하다(84.5%), 업무 내용의 잦은 변화로 불확실성이 크다(83.6%), 시간 외 요소로 인한 압박이 심하다(82.8%) 등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대응 인력의 ‘즉각 도움이 필요한 고도 스트레스 상태’는 전체의 약 49%로 절반에 가까웠으며, 직종별로는 간호직이 58.7%, 경력별로는 1년 이상 3년 미만이 5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울분을 측정한 결과 즉각 도움이 필요한 ‘심각한 울분’ 상태는 37%로 조사됐는데, 유발 요인(개방형 질문)으로는 무리한 민원과 같은 ‘악성민원’의 키워드가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민원을 줄이는 방안으로 ‘실무인력을 확대해야 한다’ 응답이 약 62%였다.
코로나19 대응 관련 안전과 건강 관련 불충분한 요소를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에 대한 재난 심리 대응·지지’가 불충분하다는 응답이 79.9%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 요구 사항을 업무·보상·기타 등 3개 부분으로 나눴을 때 △업무 분야는 순환근무 주기 등 체계 정립(28.4%), 신체·정신 건강 영향 대응안(24.6%) △보상 분야는 경제적 보상보다 적절한 휴식 시간 보장(34.4%), 추가근무에 대한 적정한 인센티브 체계 마련(32.1%) △기타 분야는 전담 인력 육성(40.2%), 법 개정으로 대응 인력 기준·보상 명시(29.4%) 등을 각각 꼽았다.
류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이번 조사 결과로 보건소 코로나19 대응 요원이 장기간 격무에 시달리고 있으며, 정신건강상태가 상당히 나빠졌음을 확인했다”며 “최근 확진 환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보건소 직원들의 격무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전문가 자문과 관련 부서와 협의를 통해 가능한 해결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웹기반 설문으로 진행됐으며 신뢰 수준은 95%, 표본오차는 ±4.3%포인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