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조직에도 노조가 있을까. 일반 노조와 달리 파업 등 단체행동권을 행사할 수 없는 등 제한적이긴 하지만 준 노조격인 ‘직장협의회’는 있다. 그동안 경찰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다루는 업무를 맡은 만큼 이해관계를 쉽게 드러내서는 안 된다는 취지에서 직장협의회 가입이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수직적 조직문화,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여론에 힘입어 2020년 6월 활동을 시작했다.
이소진 경찰청 경위는 전국 경찰을 지휘하는 경찰청의 초대 직장협의회 위원장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맡았다. 전국 시·도경찰청과 일선 경찰서 271곳에 설치된 직장협의회 중 유일한 여성 위원장이기도 하다. 잔여 임기를 6개월 남짓 앞두고 5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본관에서 만난 그는 “아직도 직장협의회라고 하면 이적단체쯤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은데 시대가 많이 바뀌었다"면서 "경찰 근무환경이 개선돼야 대민 업무 등 업무 능력도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웃어보였다.
이 위원장이 꼽은 올해 최대 성과는 경찰청 첫 상조회 설립. 경찰청 직장협의회의 1호 안건이기도 하다. 각 시도경찰청과 일선 경찰서에는 있지만 경찰청에는 없었던 것이 바로 상조회다. 이 위원장은 “직계가족 상을 당했는데 하다못해 종이컵 하나도 나오는게 없어서 다른 데서 빌려오곤 했다”면서 “장례식뿐 아니라 경조사까지 포함해 운영할 예정이고 곧 희망자를 대상으로 가입신청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2년 전, 그는 경찰 내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겠다며 위원장을 자처했다. 본인부터가 소수자이기때문에 이들의 입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실제 이 위원장은 지난 2007년 사이버 경장 특채로 경찰에 들어와 입직 경로를 따지면 '기타'로 분류된다. 경찰대 출신·남성이 주류인 본청에서 여경 특채로 지금의 자리에 오기까지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라는 게 주변의 평가다.
본인을 소수자라고 소개했지만 조금의 움츠러듦도 찾아볼 수 없었다. 신념을 지키기 위해선 특유의 날카로움을 발휘한다. 최근 그의 관심은 갑질 방지 대책이다. 이 위원장은 “2020년 경기 평택경찰서 폭언과 격무에 시달리던 경감이 극단 선택을 한 사건 이후 직장협의회의 제안으로 올해 승진 시 동료평가 강화 등 대책을 마련하긴 했지만 역부족”이라면서 “필요하다면 청내 설문조사를 실시해 갑질 상사의 출신과 기수까지 적어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출신과 기수만으로도 사실상 대상자를 밝혀낼 수 있고 설문조사 결과를 경찰청장과 공유하는 등 방법을 통해 확실하게 갑질을 막고자 하는 것이 바람”이라고 말했다.
최근 일었던 여경 무용론에 대해서도 거침없는 의견을 제시했다. 앞서 지난해 인천 남동구에서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에서 여성 경찰관이 피해자를 두고 현장을 이탈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비판 여론이 거세진 바 있다. 이에 대해 여경, 남경을 구분짓기보다 성별을 떠나 같은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 이 위원장은 “조직을 분열시키는 논란보다는 여성 인력을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배치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지구대·파출소에 가보면 여성 피의자·피해자들도 많은데 이 때는 남경보다는 여경을 현장에 배치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 여경 도움을 받았던 국민들에게 물어보고 싶다”면서 “진짜 여경이 이 사회에 필요 없는 존재라 생각하시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마지막 할 말을 묻자 적극적으로 직장협의회 홍보에 나섰다. 이 위원장은 “아직도 가입 시 불이익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면서 “그러나 우리 협의회는 그런 고민에도 혼자 고민하지 않도록 도움을 드리기 위해 존재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입률은 비공개”라고 하면서도 “많은 가입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