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에 SM타운이 들어오면 유동 인구가 늘 거라고 기대했는데 회사만 다니느라 세상 물정 몰랐던 제 탓일까요(인근 상가 자영업자 최 모 씨).”
“개관이 안 된다고 하니 자영업자들은 전부 다 맥이 빠지죠. 상가에 카페만 열 몇 개인데 지나가는 사람은 하나도 없잖아요(인근 상가 카페 사장 A 씨).”
5일 서울경제 취재진이 방문한 경남 창원 의창구 팔용동에는 창원SM타운(공식 명칭 창원문화복합타운)이 을씨년스럽게 서 있었다. 높이 9m, 길이 32m로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크다는 건물 외관 전광판은 불이 전부 꺼져 있었다. SM타운 뒤편에는 주상복합건물인 ‘창원 힐스테이트아티움시티’가 위치해 있다. 건물 지상 1층과 지하 1층에 들어선 160여 개 상가는 개발 호재를 기대한 자영업자들이 몰리며 일찌감치 분양돼 미분양 상가는 불과 20여 개 남짓이다. 하지만 상가에 입주한 자영업자들은 장사가 안 돼 한숨을 내쉬었다. 비어 있는 상가는 주인을 언제 찾을지 미지수다.
창원SM타운은 2016년 4월 ‘창원문화복합타운 조성 및 공유 재산 매각을 위한 민간 투자자 공모 사업’ 공고가 나오면서 본격화했다. 같은 해 8월 시행사인 창원아티움시티와 운영 참여자인 SM엔터테인먼트가 3자 간 실시협약을 맺었다. 시행사가 의창구 팔용동 시유지를 구입해 최고 49층의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지어 올린 수익 가운데 1010억 원을 투자하는 사업으로 한류 문화 확산, 유동 인구 증가 등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창원시 관계자는 “창원이 공업 도시인 만큼 문화·관광 쪽으로 이미지를 개선하고 한류 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자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지역 정가와 시민 단체가 특혜 의혹·위법 논란 등을 제기하며 사업 주체 간 갈등이 이어졌다. 2020년 4월로 정해진 협약상 준공 기한을 넘기며 개관이 계속 지연됐다. 결국 지난달 22일 창원시는 ‘창원문화복합타운 조성 사업’ 실시협약 해지를 발표했다.
개발 호재를 기대하고 인근 상가를 분양받았던 자영업자들은 좌절감을 토로했다. 인근 상가에 입주한 자영업자 최 모 씨는 “우리 가게가 위치는 구석져서 안 좋지만 계약 당시 바로 앞에 있는 SM타운이 개관하면 유동 인구가 많아져 좋을 거라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며 “남은 계약 기간 동안 월세만 매달 몇백만 원씩 내야 한다”고 한탄했다. 인근 카페 사장 A 씨는 “유동 인구가 늘어날 거라고 생각해 상가에 입주한 카페만 열 개가 넘는데 지금은 일부 손님을 우리끼리 나눠 먹고 있다”고 말했다.
자영업자의 피해가 계속되고 있지만 문제가 해결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창원SM타운 개관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사업 주체 간 복잡하게 얽혀 있어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창원시 관계자는 “창원시는 중간에 낀 입장”이라며 “개관을 못 한 책임은 시행사가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행사인 창원아티움시티의 강진원 사장은 “계약상 짓기로 한 시설을 모두 지었고 2021년에 사용 승인도 받았다”며 “시와 합의가 되지 않아 개관을 못 했다”고 설명했다. SM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회사 내부적으로 진행된 사업이 아니라 입장을 밝히기 곤란하다”고 밝혔다. 힐스테이트아티움시티 건설사인 현대건설 관계자는 “상가 입주 당시 홍보 내용에 SM타운 개관에 대한 내용이 있기는 하다”면서도 “상가가 장사가 안 돼도 SM타운 때문인지 다른 요인으로 인한 것인지 알 수 없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창원아티움시티는 창원시를 상대로 1000억 원이 넘는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를 예고했다. 또 허 시장을 상대로 별도 소송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창원시는 “시행사의 협약이행보증금 101억 원 몰수를 비롯해 모든 시설물 등 공공시설은 창원시로 이전시키고 모든 사업권을 회수할 것”이라며 “SM 측과 시행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창원시는 SM타운 건물을 시 소유로 귀속시키고 창원문화복합타운 사업을 다시 정상 궤도에 올려놓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상반기 중 용역을 실시해 운영 계획을 확정하고 하반기에 새 운영자를 공모하겠다는 계획까지 발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