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확대를 공약하면서 원전이 위치한 지자체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새로 제시하는 등 원전 확대에 따른 파급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14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국내 최다 원전 보유 지자체인 경북도는 최근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 전략 목표’를 대폭 수정했다. 당초 4개 분야 12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었지만 새 정부 출범에 맞춰 5개 분야 19개 사업으로 재구성했다.
우선 새 정부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계획에 맞춰 경주에 SMR 특화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한다. 차세대 원자로를 연구할 경주혁신원자력연구단지와 이를 연계해 SMR 소재·부품·장비산업을 적극 육성해 원전 수출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또 원전 해체와 SMR 개발 등 첨단 원전기술 수요에 따른 우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글로벌 원자력공동캠퍼스도 조성한다. 원자력공동캠퍼스는 원자력학과를 보유한 국내 18개 대학과 연계해 강의와 실험을 할 수 있는 대학원 과정의 공동 캠퍼스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현재 서울대 등 다수의 대학이 긍정적인 참여 의사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도는 공동 캠퍼스에 국제원자력기구(IAEA) 분소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지역으로 유입된 우수 원전 과학자의 유출을 막기 위한 ‘지방이전 과학기술연구기관 지원 특별법’ 제정과 서울에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동해안 원자력 중심지인 경주로 유치한다는 전략도 세웠다. 국립탄소중립에너지미래관과 한국수력원자력 아트센터 및 연수원 설립도 추진할 방침이다.
신한울 3·4호기 등 계획된 원전이 모두 건설되면 총 10기의 원전을 보유하게 되는 울진군은 원자력을 활용한 수소생산 및 실증단지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해 올 상반기 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윤 당선인의 원자력 수소기술 개발 공약인 ‘수소병합원전 개발 및 수출 상품화’와 맥을 같이하고 있어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앞서 경북도는 ‘경북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추진위원회’ 회의를 개최해 이 같은 전략을 논의하고 전략 사업이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인수위원회와 중앙부처에 적극 설명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새 정부의 원전 정책 기조 변화에 따라 2019년 출범한 초소형원전연구단의 원자로 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납-비스무스 액체로 냉각되는 4세대 초소형 원자로는 최장 40년간 핵연료 교체 없이 운영할 수 있다. 기존 대형 원전에 비해 발전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은 모듈화로 해결할 수 있을 전망이다.
무엇보다 4세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자로는 지진 등 외부의 큰 충격을 견딜 수 있어 구조적으로도 우수하다. 침몰 등 해양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냉각재가 자연스럽게 고체화돼 방사능 유출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울산시는 4세대 초소형 원자로를 해상부유식으로 개발해 인구 20만명이 거주하는 발전량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 수소 생산에 필요한 전기도 소형 원전을 활용하겠다는 구상에 따라 내년에 연구개발비 450억 원을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한빛 원전 1·2호기가 위치한 전남도의 경우 앞서 각각 2025년과 2026년을 기점으로 폐로 대비를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새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따라 재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이를 위해 영광군과 협력해 원전 생태계 복원에 주력할 계획이다.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경북도는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 속에서도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중수로해체기술원, 방사성폐기물정밀분석센터 등을 유치해 미래 원자력 경쟁력을 확보해 왔다”며 “원전 정책의 대전환기를 맞아 정부와 긴밀한 협조로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사업에 대한 지원을 차질 없이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