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이 공공안녕정보국에 대화경찰계를 신설한다. 최근 집회와 시위로 인한 갈등이 쏟아지자 갈등 완충 역할을 하는 대화경찰을 적극 확대하는 모습이다.
18일 서울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은 공공안녕정보국 정보관리과 태스크포스(TF)에 머물렀던 대화경찰TF를 대화경찰계로 9월 중 정식 승격한다. 기존 2명에 불과했던 소속 인원도 6~7명으로 늘린다. 경찰이 병력 투입 등 시위대와 힘 싸움에 머물렀던 기존의 대응에서 벗어나 소통을 통한 중재에 방점을 찍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화경찰은 집회 등 사회적 갈등에서 시민·시위대·경찰과 소통하며 갈등을 중재한다.
최근 집회와 시위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시민·시위대·경찰 등이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경찰청에 따르면 코로나19에도 전국에서 발생한 집회는 2020년 7만 7453건에서 2021년 8만 6552건으로 일 년 동안 1만 건 가까이 급증했다. 자연스럽게 소음과 교통 체증 불편을 겪는 시민들도 늘었다. 집회의 자유를 주장하는 시위대와 시민의 의견이 부딪히며 마찰이 생기는 경우도 많았다. 경찰 내부에서는 강압적인 경찰 대응이 시위대와의 갈등을 오히려 심화시킨다는 반성도 나오고 있다.
경찰은 대화경찰의 전문성을 확보해 갈등을 완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우선 첨예한 갈등 상황에서도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경찰청은 대화경찰 자격인증제도 도입이나 이론·상황극·시뮬레이션 등 단계별로 실시되는 전문화 교육을 고려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기존에 2주가량 실시됐던 내부 실무 교육을 넘어 외부 전문 기관의 장기 교육도 논의 중이다. 지금까지 대화경찰제도는 정보관·기동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인력 풀에서 임의로 참여하거나 차출되는 방식으로 운영돼 왔다. 대화경찰 개개인이 전문성을 갖추기 힘든 구조였다.
다만 대화경찰제도가 제대로 자리 잡으려면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것이 중론이다. 대화경찰계가 정식 승격된 후에도 현장에 배치되는 전임 대화경찰들의 인력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전문화 교육을 위한 예산 확보도 넘어야 할 산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제 대화경찰을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조직만 겨우 만들어진 것”이라며 “전문화 교육에 필요한 예산 마련, 전임 대화경찰 인원 확보 등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