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차관급인 대통령 비서실 경제보좌관·과학기술보좌관 자리를 폐지하기로 했다. 대통령실 슬림화 방침에 따른 직제 개편으로 풀이된다. 이에 비서실 차관급 자리는 기존 10개에서 적으면 5개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대통령 비서실에는 보좌관을 두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책실장 산하 경제보좌관·과학기술보좌관 자리가 없어진다. 윤 당선인 핵심 관계자는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보좌관은 없다”고 강조했다.
두 보좌관직은 문재인 정부에서 신설됐다. 경제보좌관은 거시경제 운용 방향과 점검을 관장했고 과학기술보좌관은 4차 산업혁명 대응 역할을 맡았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경제수석과 산하 비서관이 관련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좌관이 없어짐에 따라 '수석보좌관회의’도 ‘수석회의’로 명칭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보좌관제 폐지는 대통령실 슬림화 방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정부는 부처 위에 군림하며 권력을 독점해온 대통령실을 개혁해 범무처·범국가적 현안의 기획·조정·추진과 미래 전략 수립에 집중하는 전략 조직으로 재편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옥상옥’으로 작동했던 실장-수석-비서관 직제의 기능 중심 슬림화를 필수로 보고 있다.
대통령 비서실의 차관급 자리는 현재 10개(8수석·2보좌관)에서 최대 절반까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윤 당선인 측은 앞서 장관급인 정책실장과 함께 민정수석·일자리수석 폐지를 확정했다. 또 인사수석을 인사기획관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교육과학기술수석 자리가 새롭게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인사수석이 존치되고 교육과학기술수석이 신설되면 7수석제다.
윤 당선인 측은 1급 공무원에 준하는 비서관 수도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기능 개편 작업 중으로 기존 30명대 후반에서 30명 내외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민정수석 산하 반부패비서관, 경제보좌관 산하 신남방신북방비서관 등이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조권형 기자 buzz@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