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금융·증권시장을 흔드는 큰손들이 ‘임금발(發) 인플레이션’이 미국 경기 침체의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켄 그리핀 시타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인플레이션은 구조적 문제”라며 “근로자 임금 인상은 미국 경제에 매우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0대의 조기 은퇴 붐으로 노동 공급 부족에 직면한 기업들이 임금을 크게 올리면서 인플레이션 지속과 금리 급등, 경기 경착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미국은 1분기에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4%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우리도 물가 폭등에 시달리고 있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8%로 금융 위기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고치다. 게다가 대기업 노조들마저 과도한 임금 인상을 요구하면서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노사협의회에서 임금 9% 인상에 합의했으나 노조는 이에 반발하며 두 자릿수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9% 임금 인상과 인센티브를 포함할 경우 올해 삼성전자의 평균 연봉은 1억 6000만 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현대제철 노조는 2일부터 ‘특별격려금 지급’을 요구하며 사장실을 점거해 농성을 벌이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해 기본급을 인상하고 성과급도 지급했는데 노조는 현대차그룹 다른 계열사에서 지급한 특별성과급을 자신들에게도 달라고 요구했다.
대기업과 정보기술(IT) 기업들의 지나친 임금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하면서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우리도 1분기 GDP 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0.5%포인트 떨어진 0.7%에 그쳤다.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위기에 접어들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임금 인상과 인플레이션 심화의 악순환에서 벗어나려면 지나치게 임금을 올려서는 안 된다. 윤석열 정부도 강한 의지를 갖고 노조 불법행위 엄단 등 법치 확립과 노동 유연성 강화 등 노동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