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윤석열 정부의 19명 내각 국무위원 후보자 가운데 네번째로 국회로부터 '합격점'을 받았다. 노동계 인사인 이 후보자는 윤 정부가 예고한 시장주의적 노동정책에 대한 노동계의 우려를 낮추고 설득해야 하는 역할을 과제로 떠안게 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6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윤 정부 초대 내각 중 환경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이어 네번째 보고서 채택이다.
4일 열린 인사청문회는 이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을 두고 여야 공방이 치열했다. 고용부 산하기관인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시절 운영 미흡과 개인 비위 논란, 삼성그룹 자문료 축소 신고와 역할이 청문회의 쟁점이었다.
특히 임금, 근로시간, 산업재해 등 여러 노동 분야에서 문재인 정부와 다른 방향의 정책을 예고한 윤 정부에서 이 후보자가 어떤 역할을 할 지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엇갈렸다. 여당은 이 후보자에게 평소 노동관과 배치되는 정책을 하겠다는 데 대한 질타를 했다. 반면, 야당은 이 후보자에게 윤 정부의 정책에 대한 노동계의 설득을 이끌 적임자로 치켜세웠다. 보고서 채택은 이 같은 야당의 기대감이 더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노동계에서는 이 후보자가 장관으로 취임한 뒤 민주노총을 찾을 지가 관심이다. 이 후보자의 한국노총의 방문은 시간문제다. 이 후보자는 사무처장 등 한국노총에서 20년 넘게 일했다. 게다가 한국노총은 현 정부에 이어 윤 정부에서도 정책 파트너로서 역할이 유력하다. 윤 당선인도 한국노총을 직접 찾았다.
하지만 민주노총은 한국노총 보다 윤 정부의 노동 정책에 대한 우려와 앞으로 노사정 대화의 역할에 대해 더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다. 현 정부 들어 김영주 전 고용부 장관과 안경덕 장관은 취임 이후 민주노총을 방문했다. 양대 노총 중 한 곳만 선택적으로 정책 파트너로 삼는다면 노사정 대화가 어려울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이 후보자의) 민주노총 방문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도 "후보자가 장관 취임 이후 방문한다면 윤 정부의 노동정책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