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주택시장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양극화’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난 문재인 정부 5년간 상승세를 이어온 전국 집값이 ‘키 맞추기’ 양상을 보인 반면 윤석열 정부 출범 첫 해인 올 하반기에는 ‘서울은 오르고 지방은 내리는’ 정반대의 움직임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했다.
9일 서울경제가 건설주택포럼·건설주택정책연구원과 함께 부동산 전문가 1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 조사에서 전문가 10명 중 7명이 서울 집값은 오르는 반면 비수도권(지방)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 하반기 서울 집값 전망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73.4%는 ‘상승’할 것이라고 답했다. 지금과 비슷한 ‘보합’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응답한 이는 9.5%, ‘하락’할 것이라고 답한 이는 17.2%였다.
반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집값 전망에 대해 ‘하락’을 예상한 전문가는 39.0%로 ‘상승(34.3%)’과 ‘보합(26.7%)’보다 많았다. 특히 비수도권의 경우 응답자의 70.5%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상승(15.2%)’과 ‘보합(14.3%)’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었다. 과거 ‘키 맞추기’ 장세를 보이며 서울 집값을 추격해온 주요 광역시 등의 집값이 상승 동력을 잃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서울 내 지역별 집값 전망에서도 양극화가 확인됐다. 서울 집값 상승을 예측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가장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묻자 73.7%가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를 꼽았다. 반면 상대적으로 외곽인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의 상승률이 높을 것이라고 본 응답자는 1.3%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서울 집값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주택 공급 부족(46.8%)’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37.7%)’ 등을 꼽았다. 반면 지방 집값 하락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금리 인상(45.9%)’을 지목한 전문가들이 많았다.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하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상황이 특히 지방 집값에 직격탄을 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 다음으로는 ‘정부의 공급 확대 정책(18.9%)’ ‘매매 가격 부담(14.9%)’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전문가들은 수요자들이 시중 금리 이상의 투자 가치를 보장하는 안전한 투자처를 원하고 결국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부동산 규제 완화를 부르짖고 있지만 여소야대 상황에서 획기적인 정책 변경은 어려워 보인다”며 “1가구 1주택 정책 기조가 당분간 유지된다는 전제 아래 수익성을 따지는 시장 분위기가 강해지며 서울과 지방의 집값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서울 내에서도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설문은 공동 조사를 진행한 건설주택포럼의 회원인 건설, 부동산 개발, 부동산 금융, 부동산 정책 및 연구 등 각 분야 실무자들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만큼 부동산 시장의 현 상황을 토대로 한 전망을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게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건설주택포럼 부설 건설주택정책연구원의 윤주선 원장(전 홍익대 교수)은 “최근 지방 일부 현장에서는 미분양 주택 물량이 쌓이고 있다”며 “현장에서 이 같은 상황을 제일 먼저 접하는 실무 전문가들이 대외 경제 상황으로 가속화하는 양극화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한 결과가 설문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설문 조사에서 내 집 마련을 처음 하거나 추가로 매수하기 좋은 시기에 대해 가장 많은 30.5%가 2023년 상반기(1~6월)를 꼽았다. 내년 상반기 내에서도 1분기를 꼽은 전문가는 20.0%를 차지했다. 그 다음은 2023년 하반기(7~12월)로 19.0%였다. 이는 윤석열 정부 취임 1년을 전후로 규제 완화의 효과가 시장에 반영될 것이라는 예측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에 유망한 부동산 투자처에 대해 재건축·재개발(61.0%)을 으뜸으로 꼽았다. 그 다음은 신규 분양하는 아파트(14.3%), 꼬마 빌딩(6.7%) 순이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