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교육감 전성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직전 선거에서 진보 후보들이 전체 17곳 중 14곳을 휩쓸었던 것과 달리 이번 선거에서는 절반 가까운 지역에서 보수 후보들의 자리 탈환이 확실시되고 있다. 이로써 그동안 힘을 받아왔던 혁신학교·학생인권조례 등 전교조 중심의 교육정책도 존폐 위기를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2일 오전 1시 30분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17개 교육감 선거 개표 결과와 KEP(KBS·MBC·SBS) 공동 출구조사를 종합하면 최소 7곳에서 보수 성향의 교육감이 당선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3곳에서 2배 넘게 늘어나는 셈이다. 반면 진보 성향의 교육감 당선이 예상된 곳은 8곳, 경합 지역은 2곳으로 나타났다. 오차범위 내 접전인 부산에서는 보수 성향의 하윤수 후보(50.15%)가 현직 진보 교육감인 김석준 후보(49.84%)가 오차 범위에서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다른 접전지역인 경남에서도 보수진영인 김상권 후보(50.27%)와 진보진영인 박종훈 후보(49.72%)가 엎치락뒤치락 중이다.
지역별로는 경기(임태희 후보), 충북(윤건영 후보), 강원(신경호 후보), 대전(설동호 후보), 대구(강은희 후보), 경북(임종식 후보), 제주(김광수 후보) 등에서 보수 후보의 우위가 확실시된다. 가장 관심이 쏠렸던 서울에서는 박선영 후보와 조전혁 후보의 단일화가 무산된 영향으로 조희연 현 서울시 교육감이 3선에 성공했다. 진보 성향 후보들이 우세한 지역은 서울(조희연 후보), 인천(도성훈 후보), 울산(노옥희 후보), 충남(김지철 후보), 세종(최교진 후보), 광주(이정선 후보), 전남(김대중 후보), 전북(서거석 후보) 등이다.
현재로서는 진보 진영 후보가 8곳을, 보수 진영 후보가 9곳을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 보수와 진보가 거의 절반으로 나뉘면서 지난 대선에서 보수·진보 지지층이 팽팽하게 경합을 벌였던 흐름이 교육감 선거에도 그대로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현재 14 대 3으로 진보 진영이 압도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구도도 바뀌게 됐다. 그간 진보 진영은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교육감 직선제가 실시된 2010년 6명에서 2014년 13명, 2018년 14명으로 지방 교육 권력을 완전히 장악했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8년을 끝으로 보수 진영과 동등한 권력 구조가 형성됐다.
이번 선거에서는 보수 진영의 설욕이 어느 정도 예상돼왔다. 대선 직후 치러지며 교육감 후보들에 대한 주목도가 떨어졌던 데다 코로나19로 인한 기초학력 저하가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진보 진영의 교육정책 역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상당했기 때문이다. 또 당의 추천 없이 치러지는 선거인 만큼 진영 간 결집도와 부동층이 판세를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현직 프리미엄도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선거에서는 현직 교육감 12명이 모두 당선됐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현직 교육감 13명 중 8명만 우세할 뿐 3명은 경합, 2명은 뒤처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교조 출신 교육감의 성적표도 부진하다. 현재 14명의 진보 성향 교육감 중 인천·광주·울산·세종·강원·충북·충남·전남·경남·제주 등 10명이 과거 전교조 지부장 등을 지냈다. 전교조 출신 교육감은 2010년 2명, 2014년 8명에서 계속 확대돼왔고 이번 선거에는 ‘3선 연임 제한’으로 불출마한 강원(민병희)과 광주(장휘국)를 제외한 8명이 출마했다. 당선이 예측된 현직 전교조 출신 교육감은 세종·충남·울산·인천 등 4명에 그쳤다. 경남의 경우 오차 범위 내 접전을 벌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