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쇼크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발작 수준으로 요동치고 있다.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시장 전망치(8.3%)를 웃도는 8.6%를 기록하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대응해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는 공포감이 퍼지고 있다. 13일 우리나라 금융시장은 ‘검은 월요일’의 충격에 휩싸였다. 이날 코스피는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며 91.36포인트(3.52%) 급락한 2504.51로 마감했다. 채권시장도 10여 년 만에 최대 패닉 장세를 보이며 국고채 3년물과 5년물이 동시에 20bp 이상 급등했다. 원·달러 환율도 15원 10전 오른 1284원에 마감했다. 6월 1~10일 우리나라의 수출도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7% 줄면서 무역수지는 59억 95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주가·금리·환율·수출 등에서 총체적 쇼크가 나타난 것이다. 이날 시장 발작의 근본 원인은 글로벌 인플레이션이다. 코로나19 위기로 천문학적 규모의 유동성이 시장에 뿌려진 데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이 겹쳐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이에 각국이 금리 인상, 유동성 축소에 나서 주가 급락, 부동산 시장 하락 등 자산 시장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이날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긴급 거시경제금융점검회의를 열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취임 직후 각종 경제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차원에서 구성한 비상경제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다. 그러나 지금은 모니터링으로 대응할 리스크 수준을 넘어섰다. 복합 경제 위기 대응을 위한 ‘워룸’을 만들어 정교한 정책 조합을 포함한 비상 플랜을 가동해야 할 시점이다. 첫 걸음은 위기에 대한 여야 정치권과 노사정의 공감과 협력이다. 본격적인 수축 경제 시대를 맞아 각 경제 주체들의 고통 분담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특히 정부는 과도한 재정 지출과 선심성 정책을 축소하고 감세, 규제 혁파 등을 통해 기업들의 투자 의욕을 북돋아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