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력 양성을 주문한 이후 교육부가 연일 반도체 관련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를 방문해 학계·산업계와 현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반도체를 가르칠 교수와 다양한 분야의 교육과정 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와 함께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를 국가적 차원의 연구소로 키워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정부가 반도체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 자산으로 보고 있는 만큼 실제로 ‘국방'처럼 여기고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20일 오후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에 방문해 반도체 인재양성 현장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방안 마련에 앞서 관련 학계와 산업계 등 현장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차상균 서울대 교수(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는 반도체가 ‘전략적 자산’이라며 그에 상응하는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만이 자국 반도체 기업인 TSMC를 전략적 자산으로 생각하고 중국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며 “현재 반도체는 국가 핵심 전략 자산이 된 만큼 국방에 상응할 정도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차 원장은 현재의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를 별도로 떼어내 규모를 더욱 키우고 국가적 차원에서 운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는 1988년 설립 이후 30여년 동안 국내 반도체 연구 개발인력을 배출한 ‘반도체 싱크탱크’로 여겨진다. 그는 “서울대에 반도체 공동연구소가 세워진 지 벌써 30년이 넘어 규모도 작고 낡았다”며 “국가에서 예산을 지원하고 대학이 위탁 관리하는 미국의 사례를 참고해 서울대 공동연구소를 서울대서 따로 떼어내 지금보다 훨씬 큰 규모로 키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국가적인 차원의 연구소 운영해 여러 대학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세대반도체컨소시엄단장인 이혁재 서울대 교수는 최근 학계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교수 확보’ 문제를 지적했다. 이 교수는 “계약학과의 정원을 늘려도 이를 가르칠 교수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애로사항을 전했다. 산업계는 반도체 분야도 세분화 돼 있는 만큼 다양한 교육 과정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과 대기업으로의 인력 이탈 문제 등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장 차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지난해부터 교육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지원사업의 현황을 공유했다. 디지털 신기술 인재 양성 혁신공유대학은 대학들이 신기술 분야 우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연합체를 구성하고 공동 교육과정을 개발해 운영하는 사업이다.
장 차관은 "주변국과의 경쟁상황 속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더욱 성장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우수한 반도체 인재의 조속한 공급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교육부는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분야 산업 인재 양성을 교육부의 핵심적인 업무로 생각하고 이번 정부 5년 동안 전력을 다해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앞서 장 차관은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내 반도체 시설을 둘러보며 반도체 주요 제조 공정과 실습 교육 현황을 점검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반도체 산업 생태계와 인재수요’ 토론회를 열고 담당 실·국장뿐 아니라 주요 간부들이 대거 참석해 반도체 학습을 하는가 하면, 교육부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7개 부처가 참여하는 범부처 반도체 인력양성 특별팀도 교육부 차관이 팀장을 맡는 등 연일 반도체 인재 양성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