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일산 등 1기 신도시 주민들은 재건축 비용으로 최대 평균 1억8000만원까지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리모델링으로 추진할 경우 1억1400만원까지 부담할 수 있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29일 국토연구원은 지난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기 신도시 주택 소유자의 인식조사’ 연구보고서(워킹페이퍼)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분당·일산·중동·평촌·산본 등 1기 신도시에 해당하는 5개 도시의 주택소유자 546명을 대상으로 주택을 구입한 목적부터 이주 희망여부까지 정비사업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가 선호하는 주택 재정비 방식은 재건축과 리모델링이었다. 다만 소유자가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와 임대 중인 경우 지불가능한 최대 금액이 서로 달랐다. 재건축을 선호하고 소유자가 거주하는 경우에는 1억8000만원을 지불할 수 있다고 했으나 임대 중인 경우 1억7000만원까지로 분담금 상한이 내려갔다. 손은영 전문연구원은 “가장 선호하는 재정비 방식인 재건축에서 개인 분담금이 늘어날 수록 재건축보다는 다른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며 “기존에 운용 중인 재건축과 리모델링 외 새로운 정비 방식에 대한 도입과 지역별 특성에 맞춘 방식으로 선택지를 다양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 1기 신도시 주택 소유자는 초기에 실거주를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했지만, 직장과의 거리, 주택 노후도 등을 불만으로 느껴 거주하지 않거나 진출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응답자를 연령대로 나눠 질문을 던졌을 때 경제활동이 활발한 20~50대가 모두 전출 1위 이유를 직장과의 거리 문제를 꼽은 것이 눈길을 끈다.
응답자 가운데 실거주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한 소유자는 62.0%였으며 전체 주택자금의 50% 이상을 본인 저축으로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구입 자금의 58.7%는 저축을 통한 자기 자금이었고, 30.4%는 은행대출이었다. 저축을 통한 자기자금 비율은 시간이 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끈다. 1기 신도시 입주 초기였던 1989~1998년까지만 해도 자기자금 비율은 무려 70.0%에 달했다. 하지만 이후△1999~2005년 69.6% △2006~2008년 55.8% △2009~2014년 63.6% △2015~2018년 59.0%로 떨어졌고, 이번 조사에서는 50%대 초반으로 내려앉았다.
한편 이번 보고서 설문조사에 응답한 이의 77.2%는 자가 거주자였고, 나머지 22.8%는 임대 중이었다. 지역별로는 중동과 평촌 신도시의 경우 자가 거주비율이 80% 이상이었고, 일산과 분당은 70% 이상, 산본은 65.6%였다. 소유주택수 기준으로 1주택자가 77.9%였으며, 2주택자 18.5%, 3주택 이상 3.6%를 각각 차지했다. 5개 신도시 모든 지역에서 1주택자가 70% 이상을 차지했다. 다만 중동(6.1%)과 평촌(5.9%) 분당(4.4%) 등 3곳은 3주택자 비율이 평균을 웃돌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