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의 8·28 전당대회 당대표 출마가 불허된 가운데 이원욱 민주당 의원이 "박지현을 토사구팽하시렵니까"라고 비대위의 결정을 비판했다.
이 의원은 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우상호 비대위원장과 비대위의 결정은 조급했다"며 "박지현 전 위원장의 당대표 출마 자격 조건 성립에 대해 불가 결정을 내리려면 최소한 사전에 박 전 위원장의 의견은 들어봤어야 한다. 그는 당의 위원장직을 수행한 사람"이라면서 이렇게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어쩌면 당이 청년을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존재로 여기는 모습으로 보이지 않는가"라며 "민주당의 청년 정치가 갖는 함의가 이 안에 있다"고도 했다.
이 의원은 또한 "박 전 위원장은 대선 당시 대표적 영입 인사 중 한 명이었다"며 "비록 패배한 선거였지만 박 전 위원장의 공은 크게 있었던 것 아닌가. 이 점에 대해서도 반론을 제기한다면 최소한의 염치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적었다.
아울러 이 의원은 "이재명 당시 후보가 박 전 위원장에게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여러 차례 설득한 이유도 박 전 위원장이 'N번방' 사건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보여준 성과 때문 아니었나"라고 물은 뒤 "당의 특별한 위치에 옹립하고 논의를 이끌게 만든 것이 이재명 당시 후보와 민주당 아니었나"라고 거듭 강한 어조의 비판을 이어갔다.
여기에 덧붙여 이 의원은 "난 민주당에서 박지현 만큼 화살을 쏜 사람을 본 적이 없다"면서 "박지현이 겨냥한 지점은 온전히 당이 아니다. 당의 잘못된 문화, 구태, 내로남불이었다. 당의 혁신이 '승리'를 위한 선결과제임을 명확히 한 것"이라고 상황을 짚었다.
더불어 이 의원은 "대선 때 박 전 위원장을 영입한 민주당 의원들, 혜택을 본 사람들, 대선 직후 비대위원장에 앉힌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면서 "청년 박지현의 도전을 응원하고 싶지 않은가. 박지현이 말할 수 있었던 것은 특권이 아니라 민주당의 요청이었다"고 했다.
한편 박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당대표 출마는 무산됐다. 민주당 비대위가 박 전 위원장에게 예외 자격을 줄만한 사유를 찾지 못했다고 밝히면서다.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박 전 위원장이 소중한 민주당의 인재이지만 예외를 인정할 불가피한 사유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면서 "당무위에 박 전 위원장 출마를 위한 예외 조항 안건을 부의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당헌당규상 전대에 출마하려면 당원이 된 지 6개월이 지나야 하지만 박 전 위원장은 지난 2월 가입해 6개월을 채우지 못했다. 이에 박 전 위원장은 당무위 의결로 달리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비대위가 당무위 안건으로 상정하지 않기로 하면서 박 전 위원장의 출마는 사실상 어려워지게 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