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당내에 온라인 당원청원제도를 도입한다. 일부 당원들의 ‘문자폭탄’ 등을 소통에 대한 요구라고 보고 이를 보장하겠다는 취지다.
우상호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8일 비대위 회의에서 “여러 의원님들 여러 당원의 건의를 받아들여서 온라인상에서 당원청원 제도를 도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당헌·당규 개정을 둘러싸고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다. 먼저 우리 당 당원들이 당 지도부와 소통을 간절히 원하고 있구나 느꼈다”며 “당원들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당 운영에 도입됐으면 하는 열망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우 위원장은 당원청원제도를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국민청원제도와 비슷하게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지난 정부에서 호응을 얻었던 청와대 국민청원에서 진일보한 당원청원제도로 당원들의 다양한 언로를 보장하겠다”며 “기탄 없이 제안을 주시면 일정 요건이 충족되면 당 지도부에 보고하도록 하고 더 높은 수준의 요건이 충족되면 당이 답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자폭탄 방식이 아니어도 충분히 당과 소통할 수 있다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서는 “선거 공약을 어겨도 좋으니 제2부속실을 만드시고 적절하게 여사님을 통제할 수 있는 인사들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어 “앞으로도 이런 민간인들이 여사하고 개인적 친분을 매개로 대통령 집무실을 마음대로 드나든다든가 공군 1호기를 마음대로 드나든가 하는 국기문란에 가까운 일이 반복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가 정상화되면 운영위원회에서 엄하게 따져물어 재발방지대책을 만들어야겠다. 먼저 대통령실에서 대책을 밝혀주기 바란다”고 했다.
박지원·서훈 전 국가정보원장에 대한 고발과 관련해서는 “국정원의 정치개입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며 “국정원이 박 전 원장에 의해 삭제됐다고 주장한 기밀 문서의 실제 삭제 권한은 군에 속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작적 고발이다. 심지어 전 정부에게 친북 딱지 붙이려고 정치보복하려다가 국가 기밀 유통 방식까지 드러나게 만든 멍텅구리 같은 짓을 한 것”이라며 “민주당은 되살아나는 국정원의 정치개입 시도에 대해 반드시 응분의 책임을 묻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