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이 전국민 1만 명 대상 항체 조사에서 100~200명 가량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코호트)를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대상자를 구하지 못해 초반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관계자는 “추적 조사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부족해 100~200명의 대상군을 구성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추적 조사란 특정군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항체 검사 등을 진행해 연령·성별·기저질환 여부 등에 따른 감염병 관련 데이터를 쌓아가는 과정이다. 정기적 체혈 등을 통해 항체 지속 기간·항체 작용 방식 등을 분석해야 하지만, 검사에 동의하고 참여하는 사람들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방대본은 충분한 인원을 모으지 못하면 추적 조사를 실시하지 않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전국민 1만 명을 대상으로 한 항체 조사 결과는 다음달 초 발표될 예정이다. 당초 이달 말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조사 방식을 설계하는 데 예상보다 시간이 더 걸려 조사 착수 시점이 예상보다 늦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추적 조사 일정도 연기됐다. 방대본 관계자는 "추적 조사 대상군이 꾸려진다면 이르면 10월 말께 조사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조사를 시행하면 연말에 결과 공개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방역 당국은 1만 명 항체조사, 추적 조사, 후유증 조사 등을 통해 보다 과학적인 코로나19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