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과 협력해 최대 5000억 원 규모 펀드를 조성, 백신 개발과 신약 임상에 도전하는 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최근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이어서 민간 자금 조달은 풀어야 할 숙제로 평가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9일 대통령 업무계획 보고에서 'K-바이오백신 펀드' 관련 내용을 핵심 추진과제에 포함시키고 올해 내 펀드 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산하 한국벤처투자는 최근 출자사업 공고를 내고 사업을 주도할 운용사 모집에 나섰다.
이번 펀드는 각각 2500억 원 규모 2개로 나뉘어 결성된다. 보건복지부가 2개 펀드에 총 1000억 원,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이 총 1000억 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나머지 3000억 원은 운용사가 시장에서 직접 마련해야 한다.
펀드는 제약·바이오 및 백신 분야 국내 기업에 약정 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팬데믹 상황 속 국내 기업이 진단키트 수출 등 준수한 활약을 펼쳤지만, 아직까지 백신 개발 분야에서는 눈에 띄는 성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에 정부가 민간과 손잡고 신약 기업 육성을 위한 대규모 펀드 조성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정부는 펀드가 결성되면 외부 자문단을 구성해 투자 대상 기업을 운용사에 추천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중인 국내 회사들과 향후 팬데믹 가능성이 높은 감염병 백신 개발 기업에 우선 지원하기로 했다.
펀드 규모가 5000억 원으로 작지 않은 만큼 투자 대상은 중견 기업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한국벤처투자도 이 같은 점을 고려해 스타트업 위주 벤처펀드가 아닌 사모펀드(PEF) 형태로 구조를 설계했다.
펀드가 결성되고 실제 투자 집행까지 이뤄지면 자금줄이 말라 있는 제약 바이오 기업에 단비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금리 인상과 증시 침체 등으로 최근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K-바이오백신 펀드’ 자체의 펀딩 성사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우려가 있다. 최근 투심이 얼어붙으며 기관투자가들이 펀드 출자를 꺼리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지난해 사모펀드 제도가 개편돼 비상장법인 등을 기관전용 사모펀드 출자 대상에서 제외시킨 점은 펀딩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융기관 등 기관들이 바이오 펀드에 자금을 투입하기 꺼려하는 시장 상황"이라며 “민간 펀딩에 실패하면 패널티가 적용돼 소수 운용사들만 이번 출자 사업에 지원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