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수업 영향으로 한동안 움츠러 들었던 ‘학교폭력’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가장 연령이 낮은 초등학생들의 피해 응답률이 큰 폭으로 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등학교 피해 응답률의 12배, 중학교의 4배 이상이다. 전문가들은 가뜩이나 다른 학교급에 비해 학교 생활 경험이 적은 초등학생이 코로나19 기간 동안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면서 타인과의 갈등 해결 능력과 학교 적응 역량을 제대로 기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게다가 교사들은 교권 추락으로 인해 제대로 된 생활 지도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는 지난 6일 전북을 제외한 16개 시·도 교육청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응답한 피해 응답률은 1.7%(5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1%)보다 0.6%포인트 높아진 수치로 2013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2.2%) 이후 9년 만에 최대치다. 피해 유형별로는 언어폭력(41.8%)이 가장 많았으며 신체폭력(14.6%), 집단따돌림(1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눈여겨 볼 점은 초등학생의 '피해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은 고등학교는 0.3%, 중학교는 0.9%로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은 3.8%가 자신이 학교폭력의 피해자라고 답했다. 실태조사 이후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다른 학교급과 비교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번 조사에서 증가세가 유독 가팔랐다. 지난해 1차 조사 대비 응답률과 비교하면 초등학교는 2.5%→3.8%로 1.3%포인트 상승했고, 중학교는 0.4%→0.9%에서 0.5%포인트, 고등학교는 0.18%→0.3%로 0.12%포인트 증가했다.
유독 초등학교에서 학교 폭력이 늘어난 것은 초등학생이 코로나19 영향을 더욱 많이 받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유경 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장은 “초등학생은 중고생보다 학교폭력 감지 민감도가 높은데 수업 정상화로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습관성 욕설 등을 ‘폭력’으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학교폭력 감지 민감도의 문제보다는 현재 초등학생들은 사실상 처음 학교라는 공간에 입학하는 취학 초기 단계부터 비대면 생활을 하면서 타인과의 갈등 해결 능력이나 학교 적응 역량을 제대로 기르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학교라는 공간을 처음 경험하게 되는 초등학교 저학년들은 학교 생활을 통해 더불어 사는 법을 배우고 소통 과정에서의 갈등 해결 능력을 기르게 된다”며 “중, 고등학생들은 코로나19 이전에도 해당 역량을 길렀지만 초등학생의 경우 기회가 적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친구가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게 발언을 하면 언어 폭력으로 인식한다거나 소통을 통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일도 갈등이나 폭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늘게 된다”며 “특히 언어 폭력 비중이 높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코로나19 기간 동안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 갈등해결 능력이 떨어진 만큼 해당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 시간을 늘려야 한다는 게 교육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박 교수는 “의도적으로 시간을 할애해서라도 학생들에게 의사소통 기술이나 갈등해결 역량, 상대에 대한 공감과 배려 등을 가르치고 일상적인 수업 중에도 그런 요소를 반영해 가르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학교 폭력 예방 지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교권 역시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학교폭력이 저연령화 되는 추세에서 지금처럼 교사들의 정상적 교육활동과 지도가 아동학대로 고소·고발당해서는 학교폭력 예방 지도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교사들이 문제행동에 대해 초기부터 교육적 지도를 할 수 있도록 생활지도권 보장과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