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국의 ‘우려’를 이해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5일(현지 시간) 우즈베키스탄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뒤 이 같이 말했다. 한 줄에 불과한 이 ‘논평’은 그러나 적지 않은 파장을 불러 일으켰다. 올해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를 지지하며 ‘반(反) 서방 연대’를 구축해온 중국이어서 더욱 그랬다. 양국 간 ‘찰떡 공조’에 균열이 가기 시작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 이유다.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 차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 모인 두 정상이 대면 회담을 가진 당일, 시 주석은 푸틴 대통령을 ‘오랜 친구’라고 부르며 예의 친밀함을 나타냈다. 지난 2월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만난 뒤 7개월 만에 재회한 두 정상은 양국 간 협력 강화를 다짐했다.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그랬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위기에 대한 중국의 균형 잡힌 입장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혀 러시아가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후 서방의 고강도 제재를 받는 와중에도 중국이 러시아에 대한 지지 의사를 굽히지 않는 데 대한 고마움을 나타냈다. 러시아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며 “대만 문제와 관련해 미국과 그 ‘위성국가’들의 도발을 규탄한다”는 입장도 강조했다. 지난달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방문을 계기로 대만 및 미국과 날 선 대립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의 편을 확실하게 들어준 것이다. 이에 시 주석도 “중국은 러시아와 상호 핵심 이익이 걸린 문제에서 서로 강력하게 지지하기를 원한다”고 화답했다. 두 정상은 에너지 분야를 포함한 양국 간 교역 강화도 약속했다.
그러나 회담이 끝나고 전해진 외신 보도들은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껄끄러운’ 대화를 나눴음을 짐작하게 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전에 대한) 중국의 ‘우려’를 인식하고 있다”고 한 푸틴 대통령의 발언을 전했다. 이는 최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제2도시 하르키우에서 패퇴하는 등 고전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빼앗겼다 되찾은 영토가 8000㎢에 달할 정도로 전황이 러시아에 불리하게 돌아가는 상황에 대해 시 주석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음을 시사한다. 최근의 전세 역전으로 서방의 비난을 무릅쓰고 러시아를 지지해온 중국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으며 시 주석이 이를 푸틴 대통령에게 표출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정상회담과 관련해 자국 언론에 배포한 보도문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올 2월 4일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만난 두 정상이 양국 간 ‘무제한 협력’을 외쳤던 때와 극명한 온도 차를 보인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시 주석의 발언은) 중국과 러시아가 ‘무조건적인 동맹국’이 아님을 나타낸 것”이라고 논평했다.
특히 외신들은 회담 이후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을 피하는 듯한 행동을 취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푸틴 대통령 등 11개 SCO 참여국 정상들이 모두 참석한 만찬에도 홀로 불참했다. 중국 측은 자국의 엄격한 방역 정책인 ‘제로 코로나’를 이유로 들었지만,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과 마주치는 기회를 줄이려고 한 것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의 분석도 비슷하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소속인 알렉산더 가부예프 선임연구원은 “시 주석이 ‘이제 전쟁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식의 말을 푸틴 대통령에게 전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영국 싱크탱크인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나이절 굴드 데이비스 선임연구원은 “러시아는 전황뿐 아니라 외교 측면에서도 불리해지고 있다”며 “이는 중러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이 시 주석의 우려를 인정한 점이 놀랍다“면서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침략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열린 이번 회담은 (양국 간) 밀착 관계의 한 사례일 뿐“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