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유엔총회에 참석하는 가운데 약 3년 만에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2019년 12월 문재인 전 대통령과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만난 이후 2년 10개월만이다.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장례식 참석을 마친 윤 대통령은 제77차 유엔총회 참석 차 런던을 떠나 20일 오전 뉴욕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윤 대통령은 21일 유엔총회 첫날 기조연설에 나설 예정이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20일 오전 도쿄 하네다공항에서 전세기편으로 뉴욕으로 출발했다. 일본 총리의 유엔총회 참석은 2019년 이후 3년 만이다.
한일 정부는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는 중이다. 앞서 윤 대통령은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거듭 밝혀왔다. 지난 8월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계승해 한일관계를 빠르게 회복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베 전 총리 사망 이후 기시다 총리가 집권 자민당 내 강경 보수파의 눈치를 보는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기시다 총리는 1965년 수교 당시 관계(한·일 청구권협정)를 기반으로 현안 해결이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혀 왔다.
지난 15일 대통령실은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해 놓고 시간을 조율 중”이라고 발표했으나, 같은 날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은 결정된 바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마이니치신문은 “한국 측이 발표한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일본 측이 부정하고 있어 (양국 정상이) 서서 이야기를 나누는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한일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일본 언론들의 보도와 관련, 대통령실은 입장 표명을 자제했다. 지난 18일(이하 현지시간) 런던에서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일정상회담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노코멘트”라고 말했다.
그러나 19일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한 협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어 양국 정상이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어떤 형식으로든 회동을 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상황이다. 윤 대통령이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거듭 밝혀온 만큼 기시다 총리도 만남의 기회를 내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대통령실 발표대로 30분 안팎의 공식 회담이 성사돼 깊은 대화가 오갈지 아니면 일본 언론의 보도대로 짧은 시간 서서 이야기를 나누는 정도에 그칠지는 분명치 않다. 한일 정상은 지난 6월 말 스페인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국·파트너국 정상회의 때 공식 양자 정상회담은 하지 않고 만찬 자리에서 약 4분 동안 만나 대화를 나눈 바 있다.
핵심 쟁점인 위안부, 강제동원 등 과거사 문제 해법에 대한 논의가 오갈지는 속단할 수 없다.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둘러싼 한일 간 막판 신경전도 결국 과거사 해법을 둘러싼 온도차와 관련이 있다. 그동안 일본은 강제징용 배상 문제는 한국이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20일 외교부는 한일 장관회담 관련 브리핑을 통해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 계속 소통하고 국내적으로, 또 일본 측과도 계속 긴밀하게 협의하는 과정의 연속”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기류 변화에 대한 질문에 “섣부르게 변화가 있다, 없다고는 말씀드리지 않겠다”면서도 “네 차례에 걸쳐서 장관 회담을 하면서 감지한 바로는 일본 측의 자세나 태도가 우리의 의견에 대해 경청하고 더욱더 진지해졌다”고 말했다.
유엔 총회 계기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현재 양국 간 조율 중에 있다.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