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은 1992년 10월 서울시 산하 정책 연구기관인 서울시정개발연구원으로 설립돼 올해 서른 살을 맞았다. 올해 3월부터 서울연구원을 이끌고 있는 박형수 원장은 “설립 30주년을 맞아 일하는 방식과 조직을 혁신해 기존의 서울연구원을 뛰어넘는 융합 연구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박근혜 정부 때 통계청장·한국조세재정연구원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는 민간 정책 싱크탱크인 K-정책플랫폼 원장을 맡았다.
박 원장은 우선 서울연구원이 본연의 기능인 서울시 정책 연구·개발에 더욱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연구원이 매년 240개 정도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데 보다 서울시 정책에 의미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연구 기획 기능이 강화돼야 한다”며 “원장 직속의 연구 기획 전담 조직인 ‘전략연구단’ 신설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구원을 포함한 서울시 산하 정책 연구기관들 간의 중복 연구를 막고 시너지를 높이기 위한 조정 기능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정책 플랫폼인 ‘서울통합연구기능플랫폼(가칭)’을 구축하고 연구기관 협력을 통해 복잡하고 다양한 도시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는 구상이다.
박 원장은 “오늘날 도시의 문제는 너무 복잡하고 다양해 여러 분야가 융합하지 않으면 실효성 있는 연구 성과를 내기 어렵다”면서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플랫폼 형태의 연구 생태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서울연구원은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신속·유연하게 정책을 개발할 수 있도록 서울연구원 내부 데이터와 외부 기관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서울시 정책에 대한 평가·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인 ‘도시모니터링센터(가칭)’도 신설할 계획이다.
박 원장이 추진하는 서울연구원 혁신은 시스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는 “정책은 지속적인 보완을 통해 발전돼야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의 임기가 4년이다 보니 서울연구원을 포함한 지자체 산하 정책 연구기관들에서는 새 임기가 시작되면 기존의 정책을 새 정책으로 포장하는 작업이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박 원장이 추진하는 연구 기획 및 조정 기능 강화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다. 체계적인 연구 기획 및 협력을 통해 도시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실제 성과가 지자체장의 임기를 넘어 축적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박 원장은 서울연구원이 뒷받침할 대표적인 서울시 정책으로 ‘안심소득’을 꼽았다. 오세훈 시장이 기존 복지 제도의 사각지대를 보완할 대안으로 제시한 안심소득은 재산·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선별 복지 제도로 올해 7월부터 시범 사업이 시작됐다.
박 원장은 “안심소득의 효과를 제대로 검증하기 위해 전국으로 범위를 확대하고 차기 정부의 임기까지 장기간의 시행이 필요하다”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제도 설계 방안, 기존 복지 제도 재구조화 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