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금리 마저 치솟으며 건설업계가 대응방안 마련에 나섰다. 자칫 ‘저축은행 파산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한건설협회는 지난 16일 ‘금리상승 및 부동산 경기 하락기, 건설금융 및 자금조달 위기 대응방안’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연구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맡아 진행하며 내달 중순께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대한건협 관계자는 “2011년 부동산 PF가 부실화되면서 건설사와 저축은행 연쇄부도로 이어졌던 만큼 선제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라며 “부동산 금융 상황이 시시각각 악화되고 있어 긴급과제로 의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부에 대책방안을 건의할 계획이다.
누적된 부동산 PF 부실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를 촉발한 원인으로 꼽힌다. 당시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별 총 여신에서 부동산PF 대출 비율을 25% 이하로 낮추도록 요구했고 은행들은 건설사를 상대로 대출 회수나 추가 담보물 확보에 나섰다. 이 여파로 부채 관리에 소홀했던 건설사들은 줄도산했고 이는 곧 저축은행 추가부실로 이어져 20여곳 이상의 저축은행이 문을 닫았다.
문제는 올해 들어 비은행권의 부동산 PF 연체율이 다시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의하면 3월 말 기준 보험사의 부동산 PF대출 연체 잔액은 1298억원으로 지난해 말(305억원) 대비 4배 이상 늘었다. 증권사도 부동산 PF 연체율이 지난해 말 3.7%에서 4.7%로 뛰었다.
주택 경기가 악화되는 점도 PF부실을 가중시키는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7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3만1284호로 집계됐다. 이는 6월 2만7910호 대비 12.1% 증가한 수준이다. 준공 후 미분양도 7388호로 전월 대비 3.6% 늘었다. 미분양이 늘어나면 시행사 등은 대출 상환 여력이 떨어지고 자금을 빌려준 금융사도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6~6.5%였던 부동산 PF 대출 금리는 현재 10%, 많게는 20%까지 뛴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의 부동산PF 점검 강화 발표 이후 신규대출도 대부분 끊긴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