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36년 하계 올림픽 유치전에 본격 나선다. 서울시는 올림픽 유치가 오세훈 시장이 역점을 두고 있는 서울의 도시 경쟁력 강화와 함께 대한민국 재도약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9월 말 서울 거주 만 18~69세 남녀 1000명 대상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 72.8%가 ‘1988 서울올림픽’ 이후 다시 한번 하계 올림픽을 유치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오 시장은 이달 말 IOC(국제올림픽위원회) 본부가 있는 스위스 로잔을 방문해 올림픽 유치 의사를 공식 표명할 예정이다. 앞서 서울시는 2032년 서울-평양 공동 하계올림픽 유치를 준비했지만 무산돼 결국 2032년 하계올림픽 개최지는 호주 브리즈번으로 결정됐다.
서울시는 2032년 올림픽 유치가 무산된 후 스포츠계에서 각종 포럼 등을 통해 서울 단독 올림픽 유치를 주문하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며 2032년 서울-평양 올림픽 유치 실패 원인 중 하나가 시민들이 호응 없는 하향식 추진이라는 분석에 따라 시민들의 의견을 살피기 위해 이번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설문 조사에서 서울이 올림픽 개최에 성공한다면 도움이 되는 부분에 대한 답은 ‘외국인 관광 활성화’ 81.4%, ‘스포츠 인프라 개선’ 80.7%, ‘서울시 브랜드 가치 제고’ 80.5%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우려되는 문제로는 ‘대규모 적자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43.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은 ‘대회종료 후 경기장 활용’(23.7%), ‘교통혼잡 문제’(23.0%)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 따르면 역대 올림픽 개최 비용은 경기장, 선수촌 등의 시설 투자가 43%, 인건비, 물류, 경기 운영 등 운영비가 57% 드는 것으로 분석되며 적자를 유발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시설에 대한 과잉 투자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88올림픽 시설 등 그동안 건립된 국제스포츠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고 인천·경기지역, 대학교와 민간에서 보유한 스포츠 시설을 공동 사용해 시설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가 올림픽 28개 종목에 대해 국제 규격 조건에 맞는 경기장 확보 방안을 검토한 결과, 사용 가능한 경기장은 13개 종목, 경기도 및 인천시 소재 활용 가능한 경기장은 9개 종목이었다. 신축 검토가 필요한 경기장은 6개 종목(2개 경기장)이었다. 신축 검토가 필요한 6개 종목(2개 경기장) 또한 전문 체육시설 설립 계획에 이미 반영돼 있고, 대학과 민간 소유의 체육시설을 활용하면 신축 경기장 없이도 올림픽 대회를 치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설 투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선수촌 건립 비용 역시 주택재개발사업 등을 활용한 민간 투자 사업을 통해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밖에도, 스케이트보드, 브레이크댄스 같이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젊은 층의 선호도가 높은 개방형 도심스포츠를 올림픽 신설 종목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해 개최 비용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1896년 제1회 아테네 올림픽 이후 2회 이상 올림픽을 개최한 나라는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그리스, 일본의 6개국으로, 평균 50년 만에 두 번째 대회를 개최한 점에 비춰볼 때 1988년 이후 48년 만인 2036년은 올림픽을 다시 한번 유치하기에 적절한 시기로 보고 있다.
최경주 서울시 관광체육국장은 “서울은 88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과 올림픽 유산 관리 능력이 검증된 도시로서 다시 한번 올림픽을 개최한다면 서울 경제 활성화와 도시 경쟁력 제고는 물론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 “현 상황에서는 올림픽 유치를 서울 단독으로 추진하되, 여건이 허락된다면 남북 공동 개최를 추진할 수도 있다는 열린 자세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