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發) 긴축의 파고가 거세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했다. 연준은 사상 초유의 네 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을 밟아 기준금리를 3.75~4.00%까지 끌어올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종 금리 수준은 9월 예상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매파적 입장을 밝혔다.
미국의 고강도 긴축정책은 고환율·고물가·고금리 등 3고(高) 위기를 증폭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 1%포인트나 벌어진 한미 간 금리 격차는 해외 자금 유출을 초래할 수 있다.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물가 부담과 무역 적자 확대도 우려된다. 이에 한국은행은 24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면 한계 기업들은 더 늘어날 것이다. 흥국생명이 2017년 5억 달러 규모로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영구채)의 콜옵션(조기 상환)을 행사하지 않기로 함으로써 금융시장 불안이 더 커지고 있다. 레고랜드 사태로 국내 채권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외화채 발행까지 차질을 빚으면 대기업과 금융사들마저 유동성 위기에 몰릴 수 있다. 총 1900조 원에 육박하는 가계 부채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
경제·금융 수장들은 이날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어느 때보다 높은 경계감을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당국은 큰 틀에서 긴축 흐름에 맞춰 허리띠를 졸라매되 자금 경색 등을 고려해 신속하고 정교하게 금융시장 안정 대책을 펼쳐야 한다. 뒤늦은 대응으로 시장의 혼란을 자초했던 레고랜드발 자금 경색이 재발하지 않도록 24시간 대응 체제를 가동해 금융시장의 변동을 세심하게 점검해야 한다. 불안 요인을 차단하기 위해 공기업 채권 발행 조절 등 방파제를 쌓는 노력도 필요하다. 다층 경제 위기를 넘으려면 컨트롤타워가 중심을 잡고 최악의 상황까지 포함한 비상 플랜을 만들어 ‘경제 워룸’을 가동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