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자동차 업계의 트렌드 중심에 전기차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전기차 시장이 이렇게 급격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죠.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가 시장에 센세이션을 일으키더니 중국 자동차 브랜드의 성장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 한국을 비롯해 전통의 자동차 강국인 미국, 독일, 일본 자동차 회사들도 전기차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친환경차 대세가 된 전기차
요즘은 전기차가 너무 흔해졌고 브랜드나 모델도 다양해졌습니다. 세계 최초의 양산형 전기차는 2010년 출시된 닛산 리프입니다.
당시만 해도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틈새 시장을 노리는 제품에 불과했습니다. 짧은 주행거리와 부족한 충전시설 등의 영향으로 단거리 출퇴근, 장보기 등에 이용될 정도였죠. 얼리어답터 성향의 고객들이 전기차를 선택하기도 했지만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끌진 못했습니다.
2010년대 초반만 해도 이렇게 빨리 전기차가 대세가 될 것이라고는 아무도 알지 못했습니다. 휘발유나 디젤 등 기름을 넣는 내연기관 차량의 뒤를 잇는 친환경차로 전기차를 비롯해, 하이브리드차량과 수소연료전지차량 등이 거론됐습니다.
자동차 회사들마다 미래에 대한 예상이 달랐습니다.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 브랜드는 하이브리드, 한국은 수소차에 중점을 두던 시절입니다. 독일 브랜드는 이른바 클린 디젤에 주력했습니다.
그러던 것이 탄소배출 문제가 글로벌 화두가 되면서 전기차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습니다. 전기차용 배터리의 기술 개발도 가속화되면서 자동차 시장은 빠르게 전기차가 대세로 자리잡았죠.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도 전기차 개발을 가속화 시켰습니다.
이런 복합적인 원인들이 더해지면서 전기차 시대가 앞당겨졌고,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자연스럽게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게 됐습니다.
中, 최대 車 시장이 전기차 왕국으로
중국은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자 전기차가 가장 많이 팔리는 국가입니다. 지난해 중국의 순수전기차 판매량은 291만대로, 전 세계의 6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전기차 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고 탄소중립 정책을 강화하면서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세계 순수전기차(EV) 판매 상위 20개 브랜드를 보면 중국 회사가 12개나 차지할 정도입니다.
1위는 미국의 테슬라였습니다. 판매량이 93만6000대로 2위인 상하이자동차그룹(59만6000대)을 30만대 이상 앞섰죠. 상하이자동차그룹은 전년 대비 2.4배 늘어난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GM, 우링과 합작해 만든 저가형 전기차 '우링 홍광 미니 EV'만 42만대 팔렸습니다. 최저 한화 500만원대의 소형 전기차가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대체 수단으로 자리잡은 거죠.
중국 브랜드로 비야디가 32만대를 판매해 4위를 차지했고, 창청자동차(8위), 광치그룹(9위), 지리그룹(10위), 체리(13위), 샤오펑(14위), 창안(15위), 니오(16위), 둥펑(17위), 나타(18위), WM모터스(20위) 등이 20위 안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도 아직까진 순수 전기차 판매에선 크게 두각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3위에 폭스바겐, 6위에 현대차그룹이 올랐고 BMW(11위), 메르세데스벤츠(12위), 포드(19위) 정도가 20위 안에 들었을 뿐입니다.
올해는 BYD의 상승세가 눈부십니다. 이미 상반기에만 64만1000대를 팔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0% 이상 늘어난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상반기에 56만4000대를 판매한 테슬라를 제치고 1위에 오른 것이죠. 테슬라는 4~5월 상하이가 봉쇄됐을 때 생산이 중단돼 판매량이 줄었지만 BYD는 하반기에도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BYD의 판매량은 3분기에 53만7164대에 달했는데, 테슬라는 34만3830대에 그쳤습니다. BYD는 9월, 10월 두 달 연속으로 월간 판매량 20만대를 돌파하는 등 올해만 140만대의 전기차를 팔아 판매량이 전년 대비 158.52% 폭증했습니다.
테슬라도 맥 못추는 중국 시장
테슬라는 상반기에 생산을 못했다는 핑계라도 댔지만 이제는 상황이 다릅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창고에 테슬라 차량 재고가 1만6002대나 쌓여있다고 합니다.
올해 초만 해도 주문하면 몇 달씩 기다려야 할 정도로, 없어서 못 팔던 차가 안팔리니 테슬라는 차량 가격을 내린다고 발표했습니다. 중국 전기차 모델별 판매 순위에서 10월에 모델Y는 3위에서 4위, 모델S는 4위에서 11위까지 떨어졌을 정도입니다. 모델3의 시작 가격은 27만 9900위안에서 26만 5900위안으로, 모델Y는 31만 6900위안에서 28만 8900위안으로 각각 5%, 8.8% 인하됐습니다. 올해만 두번이나 가격을 올렸던 콧대높은 테슬라도 판매량 감소를 피할 수 없었죠.
메르세데스벤츠 역시 최근 전기차인 EQ시리즈 가격을 최대 24만 위안, 약 4400만 원 인하한다고 밝혔습니다. 한 달 전 테슬라가 가격을 낮출 때만 해도 하랄드 빌헬름 벤츠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우리는 럭셔리 세그먼트를 지향한다"며 가격 인하 행렬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말이죠.
테슬라와 벤츠가 굴욕을 맛보는 사이 잘 팔리고 있는 BYD는 배짱을 부리고 있습니다. 최근 가격 인상 계획을 밝혔는데요. 올해만 벌써 3번째로, 모델별로 2000위안에서 6000위안, 한화로 약 37만 원에서 최대 113만 원을 인상한다고 합니다.
약해진 中 전기차 스타트업 빅3 존재감
최근 중국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한때 주목받던 전기차 스타트업 빅3의 존재감은 점차 약해지고 있습니다. 웨이라이(니오), 샤오펑(엑스펑), 리샹(리오토)인데요.
이들 3사는 미국 증시에 모두 상장돼 있고 2020년 중반부터 주가가 급등해 한국 투자자에게도 잘 알려져 있죠. 전기차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이들 3대 스타트업은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를 받았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웨이라이는 2014년 설립됐고 텐센트가 5억 달러 넘는 비용을 투자했습니다. 2018년 9월 상장 첫날 10달러 정도였던 주가는 2021년 초 60달러를 넘었지만, 현재는 상장 시점의 주가로 돌아왔습니다.
웨이라이는 중국 정부가 권장하는 배터리 탈착 시스템을 일찌감치 도입했습니다. 중국 최대 석유회사인 시노펙(중국석유화학)과 손잡고 시노펙 주유소에 배터리 교환소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샤오펑은 창업자 허샤오펑의 이름을 딴 업체입니다. 모바일 웹브라우저 회사 출신의 허샤오펑은 회사가 알리바바에 인수된 이후 2017년부터 샤오펑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런 인연으로 알리바바가 샤오펑에 총 5억5000만달러를 투자했습니다. 이름이 비슷한 샤오미 역시 주요 주주입니다.
샤오펑도 상장 당시 주당 20달러가 넘었던 주가가 2020년 11월 3배 넘게 오르기도 했지만, 지금은 공모가에도 못 미치는 7달러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리샹은 중국 최대 딜리버리 앱인 메이퇀의 투자를 받고 있습니다. 메이퇀 그룹 뿐만아니라 왕싱 메이퇀 회장도 개인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틱톡으로 유명한 바이트댄스도 리샹에 투자를 했죠.
리오토라는 이름으로 미국 증시에 상장됐는데 첫날 16달러에 거래를 마쳤던 주가가 5개월 전만 해도 40달러를 넘기도 했는데 현재도 비슷한 수준입니다.
이들 3개 업체는 판매량이 늘고 있지만 전통 전기차 업체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최근 고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올해 상반기만 해도 적자 폭이 크게 늘었는데, 차 1대를 팔 때마다 적게는 450만원에서 많게는 2000만원 가량 손해를 본다고 합니다.
새롭게 주목할 전기차 기업은?
웨이라이, 샤오펑, 리샹 등 1세대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이 고전하는 사이 2세대 업체들이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나타(네타), 링파오(립모터), 웨이마(WM모터스) 등이 대표적입니다.
나타는 허중신에너지 유한공사의 산하 자동차 브랜드로 닝더스다이(CATL)의 자금조달을 받고 업무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웨이마는 2015년 설립돼 텐센트, 바이두 등은 물론 홍콩 최고 갑부 리카싱의 투자를 받은 업체입니다. 웨이마는 홍콩에서 IPO를 준비중인데, 예상 시가총액이 70억 4000만 달러로 추산됩니다. 적자 상태임에도 지난해 창업자인 선후이 회장에게 2500억 원의 연봉을 지급해 논란이 됐고 최근 실적 악화로 구조조정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링파오는 2015년 저장성 항저우에서 설립돼 2019년 6월부터 전기차 생산을 시작했습니다. 3년 만인 지난해 6월 누적 생산량 10만 대를 돌파하며 중국 2세대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저장성 정부, 국유 금융사인 중신증권 등의 투자를 받은 민관합자 형태의 지분구조입니다.
최근에는 바이두, 샤오미, 화웨이 등의 IT 기업들도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미국의 애플카처럼 말이죠.
중국 전기차 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짐에 따라, 중국 전기차 업체는 이제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BYD를 비롯한 업체가 이미 유럽 판매에 나섰고, 내년부터 일부는 한국 시장에도 진출한다고 합니다. 과연 중국 전기차들이 몰려오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궁금합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