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의 한강 하저 횡단 도로터널이 TBM(Tunnel Boring Machine·터널 굴착기) 공법으로 조성될 예정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공법은 서울 강남구 은마아파트 지하를 지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C노선 공사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현대건설은 13일 경기도 파주시 고속국도 제 400호선 김포~파주 건설공사 제2공구 현장에서 한강터널 굴진 기념식을 열었다. 해당 고속국도는 총 연장 6.734㎞의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로, 이 중 한강 밑을 통과하는 도로터널은 2.98㎞ 구간이다.
한강터널 공사에 사용될 TBM 공법은 다수의 디스크 커터가 장착된 커터 헤드를 회전시켜 암반을 뚫는 원통형 회전식 터널 굴진기를 활용한다. 이 공법은 기존 터널 공사 때 주로 활용했던 발파 공법보다 소음과 진동·분진 등의 발생이 적고 시공성과 안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공사 기간도 짧아진다. 특히 한강터널을 굴진하는 ‘이수식 쉴드 TBM’은 터널 굴착부터 벽면 조립, 토사 배출까지 터널 공사의 모든 공정을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초대형 선진 장비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기념식에서 “이번 한강터널 굴진을 기반으로 한국의 TBM 기술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