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영화 ‘정이’가 한국형 SF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낯선 세계에 보편적인 감성을 더하며 공감을 이끌어냈다. 여기에 설득력 있는 연기를 펼치는 배우들을 보는 재미가 확실하다.
12일 오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정이’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배우 김현주, 류경수와 연상호 감독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정이’는 급격한 기후변화로 폐허가 된 지구를 벗어나 이주한 쉘터에서 발생한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설적인 용병 정이(김현주)의 뇌를 복제, 최고의 전투 A.I.를 개발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SF 영화다.
연 감독은 ‘정이’로 새로운 디스토피아 세계관을 그렸다. 연 감독은 A.I.라고 하는 존재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공감 요소를 넣었다. 여기에 SF 장르만이 보여줄 수 있는 시각적인 요소와 액션으로 쾌감을 더했다. 그는 “하나의 아이콘으로 소비된 정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라며 “새로운 SF영화이자 한국인에게 익숙할 수 있는 제목이라고 생각해 ‘정이’라고 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이라는 인물에 대해 “여러 이데올로기 속에 대상화된 존재”라며 “영웅으로서, 한 엄마로서 정이라고 하는 인물을 아이콘으로서 완벽하게 해방하는 이야기를 상상하면서 기획했다. 그 과정을 SF적 상상력으로 구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고 말했다.
연 감독은 시청자들이 22세기 세계관에 몰입할 수 있도록 프로덕션에 더욱더 신경을 썼다. 프로덕션 디자인, 촬영, 조명, 세트, VFX 등 각 팀들과 유기적인 협업을 진행했다고. 연 감독은 “그동안 나와 함께했던 스태프들인데 다들 신이 났다. 이런 작업을 해볼 수 있는 기회가 흔치 않다 보니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 힘썼다”며 “미술적인 부분은 한국애서 몇 편의 SF영화의 장점이 정점에 올랐다. 전에 아쉬웠던 것들에 대한 경험치가 쌓이다 보니 노하우가 있었다”고 귀띔했다.
‘정이’는 지난해 갑작스레 세상을 떠난 고(故) 강수연의 유작이다. 그는 정이의 딸 서현 역을 맡았다. 서현은 정이가 식물인간이 되고 35년 후 정이 프로젝트의 연구팀장이 돼 전투 A.I. 개발에 힘쓴다. 연 감독은 서현에 대해 “사고와 실패를 통해 식물인간이 된 어머니의 명예를 이 연구로 인해 영원한 영웅으로 만들려는 계획이 있는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강수연은 ‘정이’가 영화화될 수 있는 출발점이었다. 연 감독은 “대본을 쓸 때 영화화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쓴 건 아니었다. 한국에서 흔치 않은 SF 영화이고 예산이 적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며 “어느 날 만약에 영화로 만든다면 서현 캐릭터를 누가 연기할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 갑자기 강수연 선배의 이름이 생각이 났다. ‘정이’가 이 자리까지 올 수 있던 원동력”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현주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옥’에 이어 연 감독과 두 번째 호흡을 맞췄다. 그는 수십 년째 이어지는 내전에서 수많은 작전의 승리를 이끈 전설의 용병 정이를 연기했다. 정이는 단 한 번의 작전 실패로 식물인간이 된다.
연 감독이 정이를 두고 김현주를 떠올린 것은 그림체가 맞았기 때문이라고. 그는 “김현주가 굉장히 잘 생기지 않았나. 주인공의 그림체가 맞아야 영화를 만드는 데 좋은 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이 역할은 여러 가지가 필요했다. 액션도 액션이지만 감정을 실어야 했다”며 “로봇이 갑자기 멈추다 보니 감정 연기를 하다가 멈춰야 하는 게 필요했다. 작동을 시키면 멈춰있다가 갑자기 감정을 쏟아내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현주가 기본적으로 액션 연기를 잘한다. ‘지옥’에서 트레이닝을 한 게 아까웠다”고 치켜세웠다.
김현주는 “처음에 조금 겁이 나긴 했다. 중간에 멈춰야 하는 연기들을 과거에 해본 적도 없고 상상해 본 적도 없는 연기 톤이었다”며 “실험 대상일 때와 사람처럼 보여야할 때 A.I.의 모습을 신경 써야 했다. 부자연스러우면서 자연스러워야 하니까 감독님과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 세세하게 이야기를 나누면서 만들어갔다”고 말했다.
류경수 또한 ‘지옥’에 이어 연 감독, 김현주와 재회했다. 그는 ‘정이’에서 전투 A.I. 개발을 반드시 성공시켜야 하는 연구소장 상훈 역으로 작품에 숨을 불어넣었다. 류경수는 “상훈은 ‘지옥’의 유지사제와는 정반대의 인물이다. 유지사제가 냉소적이고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은 인물이었다면, 상호는 감정을 못 숨긴다”고 소개했다.
연 감독은 “류경수는 표현하는 데 주저함이 없는 배우”라며 “상훈이 잘못하면 이상해질 수 있는 캐릭터인데 전체적인 콘셉트에 미리 준비를 많이 해왔다. 제일 말을 많이 하는 캐릭터인데 전체를 끌고 가는 인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만족해했다.
현장 호흡은 최고였다. 그 중심에는 연 감독이 있었다. 김현주는 “‘지옥’ 때도 마찬가지였지만 연 감독님이 나에게 과감한 액션을 맡게 해준 것에 대해 의아함이 있었다. 믿고 맡겨주셨고 결과적으로 여러분이 좋아해 줘서 만족했다”고 신뢰감을 강조했다. 류경수는 “캐릭터 설정을 위해 촬영 전에 템포가 빠른 노래를 들었는데, 현장에서 감독님이 끝없이 유머를 던져줘서 텐션이 더 올라갔다”고 말했다.
연 감독은 강수연의 도움이 컸다고 강조했다. 연 감독은 “류경수가 두 명의 누나 사이에서 귀염둥이였다. 강수연 선배가 특히 류경수를 엄청 예뻐했다”고 말했다. 이어 “강수연 선배가 모임을 좋아하다 보니 인간적으로 많이 친해졌다. 연기적으로나 고민을 털어놓기 편해지니 현장에서도 좋았다”고 밝혔다.
두 배우는 강수연을 그리워하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김현주는 “현장 밖에서도 우리를 많이 챙겨주셨다. 만약에 선배님이 안 계셨다면 연 감독과 류경수 두 사람을 얻지 못했을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류경수는 “상훈이 회장님 바라기 같은 캐릭터인데 내가 함께 연기하면서 선배님을 존경하는 마음이 많이 투영이 됐다. 팀장님(강수연) 바라기처럼 됐다”며 “선배님 같은 어른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연 감독과 배우들은 탁월한 호흡으로 생소함을 신선함으로 바꿨다. 김현주는 “현장에서 반신반의하는 부분도 있었는데 비주얼적으로나 세트, 조명적인 것이 완벽하게 이뤄졌다. 배우들의 신선한 앙상블이 볼 재미가 아닌가 싶다”고 했다. 연 감독은 “내가 최초로 봤던 SF소설이 생각이 났다. 그때 느낀 재미를 ‘정이’를 만들 때 영상으로 만든다는 기분으로 했다”며 “소년 연상호가 받은 느낌을 ‘정이’를 통해 구현했다”고 말했다. 오는 20일 공개.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