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온라인 당원 청원 사이트인 ‘국민응답센터’가 도입 6개월 만에 특정 지지층의 전유물이 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서 운영하던 ‘국민 청원’ 벤치마킹을 통해 당원과 지도부 간 소통 창구를 늘리고 문자 폭탄과 같은 잘못된 소통 방식을 근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역효과만 부각되는 모습이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국민응답센터를 뜨겁게 달군 이슈는 ‘천원 당원’ 논란이다. 당원들의 권리를 개선하기 위해 선거 기간 동원된 당원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김종민 의원의 과거 발언이 당원 비하 발언으로 번지면서다. 이에 김 의원을 징계해야 한다는 청원이 국민응답센터에 올라왔고 닷새 만에 약 2만 명의 동의를 받았다. 해당 청원에는 김 의원과 함께 비명계인 이원욱·조응천 의원을 징계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지난해 8월 문을 연 국민응답센터에는 현재까지 총 74건의 청원이 올라왔다. 이 중 세 건이 답변 기준인 5만 명 이상의 동의를 받았다. 기소된 당직자의 직무 정지를 규정한 당헌 80조 폐지 청원이 두 건, 친명계인 최강욱 의원의 징계를 의결한 당 윤리심판원을 규탄하는 내용 한 건이었다. 세 건 모두 이른바 친명 지지층의 요구사항이었다.
5만 명 이상의 동의를 받지 못해 종료된 청원들도 비명계 의원들을 비판하거나 윤석열 정부를 규탄하는 내용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재명 대표에게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거나 이 대표와 대립각에 선 인물들을 징계하거나 이들의 출당을 요구하는 사실상 실현 불가능한 청원도 20건가량 올라왔다.
6개월 동안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한 국민응답센터는 이르면 2월 개편을 앞두고 있다. 답변 기준을 2~3만 명 수준으로 낮추고 청원 자격 요건도 기존 권리 당원에서 일반 당원으로까지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다양한 목소리가 청원에 반영되다 보면 자연스럽게 자정 작용도 가능해질 것이라는 게 민주당 측의 설명이지만 타인을 비하하기 위한 청원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제재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금도 운영 원칙에 적시돼 있지만 특정인을 비하하거나 폄훼하는 내용의 글은 강제로 삭제할 수 있도록 세부 규정을 마련하는 등 조항을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며 “이와 함께 쌍방 소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을 진행해 지도부에 보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