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공유 플랫폼 유튜브가 파급력 강한 검색 포털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다. 물건을 살 때에도 가구를 조립할 때에도 텍스트로 전달하는 한 장의 설명서보다 1분의 영상이 주는 친절함과 직관적인 메시지가 그 매력일 것이다.
기자도 하루 1~2시간가량을 유튜브 시청에 할애할 정도로 애정이 깊다. 하지만 때로는 일부 몰지각한 유튜버 탓에 눈살을 찌푸릴 때가 있다.
최근 원로 배우 박근형이 사망했다는 허위 정보가 유튜브를 통해 삽시간에 퍼져나갔다. 지난해 말에는 요리 연구가이자 외식 기업 최고경영자(CEO)인 백종원이 100억 원의 빚을 남긴 채 희귀병으로 죽었다는 거짓 뉴스도 세간을 뜨겁게 달궜다. 이를 접한 백종원이 화들짝 놀라 직접 해명하는 해프닝까지 벌어졌다.
유튜버가 청소년 사이에서 선망받는 직업으로 자리 잡았지만 ‘조회수가 곧 돈’이라는 구조는 또 다른 부작용을 낳고 있다. 더욱이 이들은 제목에 ‘충격’ ‘폭로’라는 자극적인 단어를 쓰는가 하면 ‘단독’ ‘속보’ 등의 뉴스 형식을 빌어 거짓이 진실인 양 호도하고 있다.
최근 법원이 허위 사실을 유포한 유튜버들에게 잇따라 유죄 판결을 내리며 경종을 울리지만 가짜 뉴스는 끊이지 않는다.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도 자체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필터링을 강화하고 부적절한 정보를 게시하는 계정에 대해 삭제·차단하는 조치를 취하며 ‘자정 능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사후약방문식 규제는 큰 아쉬움으로 다가온다.
이에 플랫폼 사업자들이 악의적인 목적을 갖고 허위 정보를 생산하는 유튜버들의 돈줄을 끊고 영구 퇴출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플랫폼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물론 유튜브는 언론이 아니다. 팩트 체크를 해야 할 의무가 없다. 또 규제를 가할 경우 민주주의의 ‘표현의 자유’와 상충하는 모순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유튜브로 뉴스를 소비하는 국민의 비중이 높다. 특히 나라의 미래를 이끌 청소년과 젊은 층의 구독자가 많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이 같은 행태는 더욱 암울하게 느껴진다.
온라인상에 한 번 올라온 가짜 뉴스는 명백한 허위임이 밝혀져도 삭제가 어렵다. 누군가 의도적으로 퍼뜨리는 거짓 정보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삽시간에 퍼져나가 진실을 왜곡하고 사회의 혼란을 야기한다.
가끔은 거짓 정보가 진실을 압도하는 파급력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개방과 공유가 중심이 된 디지털 문화가 만들어낸 어두운 단상이다. ‘조회수만 늘면 되지, 아니면 말고’식의 악의적인 유튜버 행태를 접할 때면 드라마 ‘오징어게임’ 속 잔혹한 자본주의의 현실마저 떠오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