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법무부 장관과 더불어민주당이 8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사사건건 충돌하며 설전을 벌였다.
김민석 민주당 의원이 이날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 첫 질의자로 나서 포문을 열었다. 김 의원은 지난해 9월 대정부질문에 출석한 한 장관이 차기 대권주자 여론조사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는 것 자체가 ‘호들갑 같다’고 발언한 점을 상기시키며 “소신 때문인가 아니면 결국은 내가 정치를 하게 될 것 같다는 운명적 예감 때문인가”라고 물었다.
한 장관은 “저에 대해 과한 관심인 것 같다”고 맞받아치며 “제 입장은 충분히 말씀드렸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공직을 도박하듯이 거는 것은 안 된다’고 하면서 ‘장관직을 포함해서 모든 것을 걸겠다’고도 말씀했다”며 “발끈하면 말이 왔다 갔다 하는 게 한동훈 캐릭터인가”라고 비난했다.
이는 한 장관이 지난해 10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의겸 민주당 의원이 제기한 서울 청담동 술자리 의혹과 관련해 “법무부 장관직을 걸겠다”고 발언한 것을 두고 한 말이다. 한 장관은 지난해 9월 대정부 질문에 출석해 ‘검수완박’ 입법 과정에 관한 권한쟁의 심판 결과에 대해 야당 의원이 ‘잘못되면 장관을 사퇴하겠느냐’고 물은 데 대해 “공직을 수행하는 데 직을 도박하듯이 거는 건 안 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의원의 지적에 한 장관은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염두에 둔 듯 “민주당이 저에게 사과해야 한다는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리고 싶다”고 반박했다. 이에 김 의원이 “한 장관의 캐릭터를 여쭤봤는데 다른 방식으로 답하는 것이 굉장히 능하시다”고 비꼬자 한 장관은 “사과하실 의향은 없으신지 다시 한번 묻고 싶다”고 맞받았다.
과거 채널A 검언유착 의혹 사건 관련 수사가 불공정하다며 수사에 불응하지 않았냐는 김 의원의 추궁에 대해선 “이재명 대표도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까”라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이 “본인 이야기를 물어보면 다른 사람 이야기를 하는 것이 습관인가”라고 지적하자 한 장관은 “의원님도 일반론을 말씀하시면서 저를 비난하고 싶어 하시는 거지 않나”라고 응수했다.
한 장관은 김남국 민주당 의원과의 질의에서도 “청담동 가짜뉴스에 대해서 다시 한번 민주당이 사과해 주시기를 다시 한번 요청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어릴 때 초등학교 다닐 때 선생님이 사과하라면 ‘네가 먼저 사과하라’, ‘네가 더 잘못했다’라고 하면서 사과를 미루는 경우가 있다”며 “국무위원의 사과는 국민에 대한 발언의 무게감과 책임이 있다”고 말하자 한 장관은 “정당의 사과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김영호 민주당 의원이 "한 장관이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에 강한 적개심을 갖고 있어 굉장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힌 데 대해 한 장관은 "저는 민주당에 적개심이 없다"며 "비디오테이프를 돌려보면 오히려 민주당이 저한테 적개심을 드러낸 것 같다"고 반박했다. 그는 "제 검사 인생의 화양연화는 문재인 정권 초반기 (박근혜 정부) 수사들일 것"이라며 “당시에 (민주당이) 저를 굉장히 응원해주셨고, 열렬히 지지해주셨던 걸 기억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 그때와 달라진 게 없다"며 "오해가 있으면 서로 풀었으면 좋겠단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