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계가 당정 일체론을 띄우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의힘 명예대표를 맡는 방안이 여권 일각에서 제기돼 쟁점화됐다. 이를 놓고 ‘여당의 용산 출장소화’ 우려 등이 일자 친윤계는 없던 일로 무마하고 있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3·8 전당대회 이후 윤 대통령이 국민의힘의 명예대표를 맡는 방안이 여권 일각에서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친윤 핵심인 이철규 의원이 당내 모임인 ‘국민공감’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명예대표론’에 대해 “가능한 이야기다. 집권 여당이 대통령과 다른 목소리를 낸다면 집권당이라고 말할 수 있나”라고 밝혀 ‘명예대표 추대론’이 급격히 확산됐다.
이 의원의 발언 뒤 여당은 술렁였고 친윤계는 즉각 수습에 나섰다. 한 친윤계 핵심 의원은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명예대표론은) 오버한 듯하다”며 “제도가 중요한 게 아니라 책임 정치를 위해 당정 일체 의지가 중요한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기현 의원도 거리를 뒀다. 그는 “당정은 부부 관계 같은 것이고 운명 공동체”라면서도 “저는 당정 일체라는 용어를 쓴 적이 없다. 굳이 어떤 직책(명예대표)으로 논란을 벌일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의 당헌·당규상 대통령의 명예대표 임명은 가능하다. 당헌 7조는 대통령의 당직 겸임은 원칙적으로 금지하지만 명예직에 한해 길을 터놓고 있다. 그럼에도 친윤계가 발을 뺀 것은 불필요한 정치적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비윤계 당권 주자들의 잇따른 출마 포기로 수직적 당정 관계, 획일주의에 대한 비판이 무성한 가운데 대통령이 당직을 맡는 것이 권위주의적 총재 시절로 회귀하는 것으로 국민들에게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당권 주자들은 김기현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려는 저의가 있다고 반발했다. 안철수 후보 캠프의 김영우 선대위원장은 명예대표론에 대해 “대통령을 전당대회에 끌어들이는 처사”라며 “총선 승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천하람 후보도 “여당을 용산 출장소로 만들 것이냐”고 따졌다.
친윤계는 여전히 당정 일체론에 힘을 싣고 있다. 국정 운영의 두 바퀴인 여당과 정부가 유기적으로 움직여야 책임 정치 실천이 가능할뿐더러 3대(노동·연금·교육) 개혁을 완수하려면 어느 때보다 일사불란한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들의 생각이다. 다만 비윤계 김웅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은 부동산 폭등, 북핵 문제 때문이지 당정 분리 때문이 아니다”며 “윤 대통령의 첫 약속인 당정 분리를 일부 윤핵관들이 더럽히고 있다”고 비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