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면 두달만에 개판 될 거야. 여기 목숨 걸게 아니면 하지 마세요”
예산시장을 이끌어갈 창업자들을 선발해 교육에 나선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그는 27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백종원 시장이 되다] 여기에 목숨 걸 거 아니면 하지 마세요. 예산 시장엔 과연 무슨 일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백 대표는 기획은 물론 인테리어·메뉴 개발까지 조언하며 점주들을 모집하고 교육하는 과정을 영상으로 보여줬다.
백 대표가 내건 자격 요건은 딱 세 가지였다. △되도록 젊은 연령층 △근성을 가진 절실한 사람 △예산 거주민이었다. 이에 대해 백 대표는 “오래 꾸준히 하는 마음이면 좋겠다. 젊음의 기준은 나보다만 어리면 된다”며 “우리가 작년부터 이 프로젝트를 준비했는데 그때부터 신청하고 기다린 분, 지역 경제를 살리려고 예산 거주민들에 한해서 하려고 했다. 지역 인구 소멸을 막아보고자 진행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이다”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창업비용도 거의 들지 않는다. 백 대표의 예덕학원이 매입한 매장을 더본코리아가 다시 임대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리와 인테리어까지 끝냈으니 창업자는 월 임대료와 주방설비 비용 등의 수수료만 내면 된다. 입점 전의 모든 비용은 무료지만 대신 조건이 있다. 음식 가격을 싸게 내야 한다.
백 대표는 ‘골목식당’에서 보여준 카리스마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레시피 교육을 끝내고 연습에 돌입한 점주들을 점검한 것. 처음 찾은 곳은 비품이 정리되지 않은 채 나뒹굴고 화구 곳곳에 먼지와 음식물 찌꺼기가 너저분했다. 식기가 놓인 선반에도 먼지가 수북했다. 점주들은 위생과 식자재 관리 등에서 꾸지람을 들어야 했다. 백 대표는 “내 집도 이렇게 둘 거냐? 내가 장담컨대 이대로면 두 달 만에 개판 될 거다. 그 꼴을 너무 많이 봤다. 그러다가 가게 말아먹는 거다. 사장님들 분양받은 아파트, 안방이라고 해도 이렇게 쓸 거냐”라며 “내가 여기서 잘 수 있을 정도로 관리해야 한다”고 호통쳤다.
또 다른 매장에서도 분노는 이어졌다. 식자재 손질까지 미흡했던 점주가 청결 상태까지 불량했던 것. 백 대표는 “이렇게 장사를 하겠다고? 기본이 안 돼 있다. 못 하겠으면 차라리 지금 포기해라. 여기 목숨 걸 거 아니면 하지 말아라”고 다그쳤다. 백 대표는 이후 점주들을 한 자리에 모아 “몰라서 그랬다고 생각한다”며 “가게를 하나하나 직접 살펴야 한다. 내 가게처럼 안 하는 게 안타까워서 그랬다”고 보듬었다.
‘백종원 효과’로 입소문이 난 예산상설시장의 일부 음식점은 주말 기준 하루에 1만5000명의 인파가 몰리며 재정비를 위해 이날부터 약 한 달간 휴점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