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국·일본이 27일(현지 시간) 경제안보대화를 열고 첨단 산업 분야의 공급망 안정 등을 논의했다.
이날 대통령실에 따르면 한미일은 미국 호놀룰루에서 한미일 3국 경제안보대화를 개최하고 첨단 산업 분야의 공급망 안정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회의에는 왕윤종 대통령실 경제안보비서관, 타룬 차브라 백악관 기술·국가안보 담당 보좌관, 다카무라 야스오 일본 총리실 국가안전보장국 내각심의관이 참석했으며 주로 경제안보와 관련된 3국의 공통 관심사가 논의됐다. 이번 경제안보대화는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개최된 한미일 정상회담 합의 사항에 대한 후속 조치로 진행됐다.
대통령실은 “3국 대표단은 (이번 회의를 통해) 경제안보 분야의 공통 관심사에 대해 상호 이해를 높이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며 “이번 회의는 한미일 3국이 경제안보 문제를 놓고 함께 논의하는 첫 회의”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는 구체적으로 양자·바이오·우주 등 신흥 핵심 기술 분야의 전문 인력 교류 확대, 반도체·배터리·핵심 광물의 공급망 안정화, 기술 보호, 데이터 이동과 보호, 경제적 상호 의존의 무기화 대응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대통령실은 “이번 회의는 한미 경제안보 협력을 한미일 3개국 차원으로 확대하고 글로벌 협력 촉진을 위한 기반을 강화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경제안보대화를 통해 3국의 공급망 회복 탄력성과 위기 대응 능력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음 경제안보대화 의제와 일정은 3국이 추후 협의해 결정될 예정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고강도 규제로 우리 기업들이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미국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내용을 지금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당사자인 기업뿐 아니라 관계 부처와 대통령실에서도 지원을 하는 상황”이라며 “때가 되면 (구체적인 한미 협력 결과를)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