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도매가격이 1년 전보다 20%가량 떨어졌는데 소매가격은 별로 떨어지지 않고 이전 수준을 유지해 소비자들이 한우 가격 하락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우 도매가격이 떨어지면 소매가격도 바로 떨어지는 가격연동제를 도입해 한우 소비자들에게 가격 하락에 따른 혜택을 돌려줘야 합니다.”
김삼주 전국한우협회 회장은 7일 서울경제와 만나 한우 소매가를 낮추기 위해 올 하반기 한우 통합 유통 플랫폼을 만들고 가격연동제를 시행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한우 도매가격이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어 한우 사육 농가들의 시름이 깊다. 한우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한우 도매가격은 ㎏당 1만 5904원으로 1년 전(1만 9972원)보다 20.4% 하락했다. 한우 도매가격이 급락한 것은 한우 수요는 줄어든 반면 공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김 회장은 “한우 도매가격 급락의 1차적 원인은 최근 고금리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한우 소비가 줄었기 때문”이라며 “공급 측면에서도 코로나19 사태로 가정 내 한우 소비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오르자 농가들이 사육 두수를 늘려 공급과잉을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형마트 등 소매점에서 한우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은 선뜻 지갑을 열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우 소매가가 도매가 하락을 반영하지 못하고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다. 한우 도매가와 소매가가 불일치하는 이유는 한우의 과도한 유통 비용에서 찾을 수 있다. 김 회장은 “한우 가격에서 유통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48% 정도로 절반에 육박하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며 “한우 유통 단계 감축으로 유통 비용을 줄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이득을 보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우 유통은 ‘생산 농가→도매시장→중매인→가공 업체→유통 업체→소매상→소비자’ 등 6~7단계를 거치는데 이 중 도매·유통 단계를 줄여 4~5단계로 간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한우협회는 소비자가 가격을 비교할 수 있는 한우 유통 플랫폼을 구축하고 한우 도매가와 소매가가 연동돼 움직이는 가격연동제를 실시해 한우 소매가 인하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김 회장은 “한우 소매가가 도매가에 비해 더 늦게 떨어지고 오를 때는 더 빨리 오르는 모순이 있어 가격연동제를 주장하는 것”이라며 “한우 생산자들이 가격연동제를 통해 전체 물량의 15% 정도에 영향을 미치면 가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우협회는 또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우 자율 감축에 나서기로 했다. 김 회장은 “한우 수급 안정을 위해 올해 새끼를 낳을 수 있는 암소 14만 마리 자율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소비자들이 한우 고기를 맛있고 알뜰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도 소개했다. 한우의 ‘부위’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등급’을 따져 소비하라는 것이다. 그는 “대체적으로 한우 등급이 높을수록 맛있다는 인식이 있지만 1등급 이하 고기라도 조리 방법 등에 따라 맛있게 즐길 수 있다”며 “2·3등급 한우도 두껍게 썰어 프라이팬에 버터를 두르고 스테이크로 구우면 풍미가 매우 좋다”고 말했다. 현재 한우는 1++, 1+, 1, 2, 3등급으로 나뉜다. 외국산 소고기의 경우 우리 등급 기준으로 2~3등급 수준이 많다고 김 회장은 귀띔했다.
지금도 경북 영주에서 한우를 키우고 있는 김 회장은 한우와 축산 농가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오해를 받는 현실에 안타까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는 “식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업부산물의 70%를 한우가 소비해 부산물 폐기에 따른 탄소 발생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며 “또 국내 탄소 발생량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7%에 불과하고 이 중 축산에서 발생하는 비중은 1.2%로 미미한 수준”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환경과 관련해 축산 농가가 오해를 받는 부분을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알려 후계농업인들이 안정적으로 축산에 임할 수 있는 밑바탕을 만들어주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