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94·사진) 미국 애리조나대 교수 겸 매사추세츠공대(MIT) 명예교수가 챗GPT 열풍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했다.
촘스키 교수는 8일(현지 시간) 이언 로버츠 케임브리지대 언어학 교수, 과학기술 기업 오셔니트의 인공지능(AI) 국장인 제프리 와터멀과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챗GPT의 거짓 약속’에서 AI의 현주소와 한계를 지적했다. 그는 “오늘날 AI의 소위 혁명적인 진보는 낙관론과 동시에 우려를 불러일으킨다”며 “문제 해결 수단으로서 지능을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최근 유행하는 머신러닝 유형의 AI는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는 언어·지식 개념을 기술에 포함해 과학과 윤리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 석학은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바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시드니 등 생성형 AI들이 마치 인간처럼 언어를 구사하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판단했다.
촘스키 교수 등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은 패턴매칭과 방대한 데이터 학습에 의존해 가장 그럴듯한 답을 추론하는 챗GPT와 달리 ‘놀라울 정도로 효율적이고 우아한 시스템’이다. 적은 양의 정보로도 작동하고 데이터 간 상관관계를 추론할 뿐 아니라 그에 대한 설명까지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다. 아울러 그는 인간의 무의식적인 언어 습득 능력이 ‘유전적으로 타고난 운영체제’ 덕분에 문법 체계에 기반해 정교하고 빠르게 발휘되는 반면 머신러닝 프로그램은 “인류 출현 이전의, 또는 인간이 아닌 수준의 인지 혁명 단계에 갇혀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촘스키 교수는 “챗GPT 같은 프로그램들은 설계상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구분하지 못한다”며 “머신러닝 시스템의 예측은 늘 피상적이고 불확실하다. 설령 예측이 맞더라도 이는 사이비 과학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진짜 지능은 사실 같지 않더라도 통찰력 있는 것을 생각하고 표현하는 능력에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머신러닝 AI는 지능의 핵심 역량인 도덕적·당위적 사고가 불가능하다는 치명적 결함도 지적됐다.
이에 이들 석학은 “암기력 등 양적 능력은 물론 통찰력, 예술적 창의성 등 질적인 측면에서까지 기계가 인간의 뇌를 추월하는 날이 언젠가 올 수는 있겠지만 아직 동도 트지 않았다”고 일축하며 “챗GPT 같은 머신러닝 프로그램이 AI 분야를 계속 지배하는 한 그런 날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