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과 더불어 정부가 기업에 적극적인 임금 인상을 촉구하는 일본에서 주요 대기업들이 연이어 노조 인상 요구를 100% 수용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현지 언론은 15일 노조 임금 인상 요구안에 사측이 답변하는 '집중 회답일'인 이날 후지쓰와 가와사키중공업 등 대형 제조업체들이 노조 임금 인상 요구를 그대로 수용했다고 보도했다.
후지쓰와 히타치제작소, 도시바, NEC 등 전기·전자 대기업은 기본급을 7000엔(약 6만8000원) 인상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1500∼3000엔)의 2배가 넘는 수준으로 정기 승급분과 기본급 인상분을 합한 임금 인상률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 4%와 비슷한 수준이다.
자동차 업체들은 집중 회답일을 기다리지 않고 일찌감치 노조 요구를 수용했다. 도요타자동차와 혼다는 지난달 22일 노조 요구를 모두 수용했다.
도요타는 "과거 20년간 최고 수준 인상"이라고 밝혔으나 평균 임금 인상 폭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혼다도 기본급을 포함해 월 1만9000엔(약 18만 원) 올리기로 했는데 이는 총액 기준으로 약 5%에 해당한다.
중공업 업체들도 미쓰비시중공업과 IHI가 모두 49년 만에 노조의 요구를 100% 수용해 기본급을 1만4000엔(약 13만6000원)씩 올리기도 했다.
미쓰비시중공업의 임금 인상률은 연봉 기준으로는 7%가 된다.
앞서 패스트패션 브랜드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패스트리테일링은 이달부터 신입사원과 신임 점장 월급을 각각 17.6%, 34.5% 올리는 등 임금을 최고 40% 인상했다.
일본의 주요 대기업들은 급격한 물가 상승과 디지털화 진행으로 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임금 인상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기시다 후미오 총리도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에 미치지 못하면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기업 경영진에 최소 3%의 임금 인상을 요청했다.
일본의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로 소비세 증세 영향을 제외하면 1991년 이후 3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2개월 연속 4%대를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