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사라졌던 2014년, 그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엄마들이 무대에 올랐다. 세월호 참사 유족들이 무대에 선다는 소식만으로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지만 그들의 연극은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랐다. 관객들을 기다린 건 고통과 울분이 아닌, 그들이 나아가는 길이었다.
'장기자랑'(감독 이소현)은 세월호 참사 이후 슬픔에 잠겨 있던 엄마들이 '4.16 가족극단 노란리본'을 중심으로 모여 변화했던 과정을 조명하는 다큐멘터리다.
'4.16 가족극단 노란리본'의 시작은 "세월호 엄마들이 연극을 하고 싶어해"라는 말 한마디를 들은 김태현 감독의 행동으로부터 시작됐다. 삶의 슬픔에 묻혀 은둔 생활을 하고 있던 엄마들을 불러 모았고 코미디 대본을 읽게 만들었다.
그들이 준비한 연극 '장기자랑'은 수학여행을 위해 장기자랑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이야기다. "우리 아이들은 제주도에 도착을 못 했지만 '장기자랑' 안에서는 모든 아이들이 다 같이 제주도에 도착을 하게 됩니다"라고 작품 속에서 흘러나오는 내레이션이 이 연극에 담긴 모든 메시지를 내포한다.
평소 랩을 좋아했던 영만 학생의 엄마는 랩을 하고, 만화 '원피스'의 주인공 루피를 좋아했던 동수의 엄마는 루피로 변장을 한다. 무대에 올라 아이들을 기억해달라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 그들의 행동은 단순히 아이를 위한 노력을 넘어 자신을 위해 내딛는 발걸음으로 이어진다.
'장기자랑'은 평소 미디어에서 조명하던 세월호 유족들의 울부짖고 괴로워하는 모습과 달리, 편견이 요구하는 피해자의 모습에서 저 멀리 벗어나 있는 엄마들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특히 연극 코스튬을 입고 소녀 시절로 돌아간 듯한 엄마들의 모습, 연극을 앞두고 긴장하는 모습, 그리고 예진 엄마와 영만 엄마가 주인공 자리를 놓고 티격태격 다투는 과정까지 이 다큐멘터리에 담긴 흥미로운 포인트들이다.
연극을 보는 관객들은 웃고 엄마들의 춤과 노래에 함께 박수를 치고 열렬히 환호한다. '4.16 가족극단 노란리본'은 이러한 무대들을 지나오며 200여 회의 공연을 마쳤다. 엄마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에게 닿을 공연을 준비하고 또 주인공 자리를 놓고 싸우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이 찬란한 연극을 극장에서 찾아줄 이들을 기다리고 있다.
관련기사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