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월 전국 주택 거래 시장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인 것으로 조사됐다. 1·3부동산 대책 등을 통해 대출과 세제, 청약 규제 등이 대거 완화되면서 수요가 아파트로 집중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5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거래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주택 거래량 7만 7490건 가운데 아파트는 6만 3909건(82.5%)을 차지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월별 기준 가장 높은 비중이다.
전국 주택 시장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이었다. 올해 2월 세종의 주택 거래 779건 중 아파트 거래는 763건(97.9%)이었다. 이어 △대전(92.6%) △울산(90.1%) △대구(89.4%) △경남(89.2%) △광주(88.8%) △경기(84.2%) △서울(82.5%) 등이 평균 이상을 기록했다.
아파트 거래 비중이 늘고 있는 반면, 전국 빌라 거래 비중은 역대 최소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2월 전국 빌라 거래량은 7021건(9.1%)에 불과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빌라는 환금성이 떨어지고 가격 상승여력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며 “아파트 관련 규제가 완화되면서 실수요자들이 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