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4·10총선이 약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공천의 향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서 각각 주류 계파 인사들을 대거 전진 배치하는 공천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돼 비주류 계파와의 내홍 격화가 예상된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거대 양당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는 내년 총선 공천 탈락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우선 국민의힘에서는 검사 출신 등에 대한 전략공천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어 어수선한 분위기다. 특히 보수 텃밭인 대구·경북(TK), 부산·울산·경남(PK) 지역에 대해 물갈이 공천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게 당 안팎의 관측이다. 그런 맥락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 대한 ‘총선 역할론’도 정치권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다. 한 장관 스스로는 직간접적으로 이를 부인하고 있지만 친윤계(친윤석열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출마에 군불을 지피는 모습이다. 당내에서는 한때 출처 불명의 출마 예정 명단마저 돌아 대상 지역구 의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물갈이 공천론에 대해서는 당내에서 평가가 엇갈린다. 여당의 한 영남권 의원은 “(검찰 출신 등이 전략공천될 경우 해당 후보가)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면 모르겠지만 기존 현역 의원들과의 경쟁에서 상대가 될 수 있겠나”라고 지적했다. 반면 여권의 한 당직자는 “우리 당의 지지율이 답보하는 배경에는 기존 의원들이 ‘고인 물’처럼 복지부동화돼 지역 현안을 위해 몸 바쳐 뛰는 모습이 좀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며 “공천으로 인적 쇄신을 하겠다는 방침이 정해질 경우 물갈이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의원들이 더 지역 주민과 밀착한 의정 활동을 펴 당 지지율을 견인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야당인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가 이른바 ‘통합’ 당직 개편를 단행했지만 차기 공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사무총장직은 ‘친명’ 조정식 의원을 유임하기로 하면서 갈등의 불씨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비명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내 편 감싸기만 하면서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칼을 겨눌 수 있겠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 혁신위가 차기 공천에 당원 평가 비율을 늘리는 것을 검토한 것 또한 갈등만 더욱 부추겼다.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이 상대적으로 당내에서 큰 목소리를 내는 상황에서 당원 평가 비율을 늘리는 것은 사실상 비명 학살이나 다를 바 없다는 우려가 나온 것이다. 이에 당 공천제도TF는 이해찬 전 대표 당시 만든 ‘시스템 공천’ 틀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단수 공천 기준 완화 혜택은 신인인 청년에게만 적용하는 방향으로 최종 공천룰을 결정해 최고위에 보고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